2012년 12월 26일 재집권해 내각을 발족한 아베 총리는 이날까지 2799일 동안 연속으로 총리로 재임했다.
이로써 아베 총리는 1964년 11월 9일∼1972년 7월 7일까지 2798일 동안 집권한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1901∼1975)를 넘어 연속 재임 최장기록을 달성했다.
하지만 재집권 후 7년 8개월이나 이어진 장기 정권치고는 성과는 초라하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정권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아베노믹스'(경제정책)를 추진해 이목을 끌었지만 최근 코로나19가 확산한 가운데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연율 기준 27.8% 감소해 전후 최악을 기록했다.
올해 4월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강제력을 동반하지 않는 외출 자제·휴업 요청 등을 중심으로 한 방역 대책을 펼쳤고 하루 신규 확진자가 두 자릿수까지 감소하자 아베 총리는 "일본 모델의 힘을 보여줬다"고 자랑하기도 했다.
하지만 긴급사태를 해제한 후 경제 살리기와 방역의 병행을 표방한 가운데 확진자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졌고 국내 여행까지 장려하면서 상황이 반전했다.
최근 한 달 사이에 일본의 확진자는 약 3만5000명이나 증가했다.
아베 정권이 코로나19 확산에 갈팡질팡 대응하는 가운데 내각의 지지율은 재집권 후 두 번째로 낮은 36.0%(교도통신)까지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아베 총리의 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분석이 확산하고 있다.
[이상규 기자 boyondal@mkinternet.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