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틱톡, 트럼프 행정명령 취소 소송…매각 협상은 계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틱톡 “트럼프 행정명령은 적법 절차 여겨”

미국 내 틱톡 사용자 9100만명 첫 공개

헤럴드경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퇴출 위기에 처한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법원에 이의를 제기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EPA]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미국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한 중국의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법적 대응에 나섰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틱톡은 캘리포니아 중앙법원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취소해달라고 청구했다.

틱톡은 지난 6일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며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와 거래를 금지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미국 수정 헌법 제5조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수정 헌법 5조는 적법한 절차 없이 생명이나 자유, 재산이 박탈돼선 안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틱톡은 중국 정부와 사용자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고 미국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하려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거래를 차단함으로써 적법한 절차 없이 자신들의 권리를 해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틱톡은 자신들이 미국인의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기간 수많은 미국인들이 경제활동을 틱톡에 의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틱톡이 밝힌 미국 월간 사용자는 지난 6월 현재 9100만명으로, 2018년 1월 1100만명에서 크게 늘었다. 또 매일 5000만명 이상의 미국인이 틱톡을 사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세계 사용자는 2018년 1월 5500만명에서 이달 들어 20억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지난 2분기 27억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힌 페이스북을 바짝 뒤쫓은 것이다.

틱톡이 미국 및 전세계 사용자 규모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CNBC방송은 전했다.

한편 법적 대응과 별개로 미국 기술기업과 매각 협상은 계속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은 이번 소송엔 11월 12일까지 틱톡의 미국 자산을 팔아야 한다는 미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하는 내용은 담겨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현재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미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사업 부문을 매각하는 방안을 놓고 마이크로소프트(MS), 오라클 등과 협상 중이다.

kwy@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