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7 (월)

'바비'보다 더 센 태풍 '마이삭' 온다…지자체 '초비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해수위가 높은 시기 폭풍해일 발생 가능성

최대풍속 초속 60m '매미'와 경로 유사 각별한 대응 체계 구축

(전국종합=연합뉴스)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해 우리나라를 향해 북상하면서 태풍 영향권에 들어서는 지자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9호 태풍 '마이삭' 제주 향해 북상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해 제주도 남쪽 해상을 향해 접근 중인 가운데 1일 오전 서귀포항에 어선들이 대피하는 등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2020.9.1 jihopark@yna.co.kr



각 지자체는 태풍 피해 최소화를 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긴급 가동하고 지자체별 상황에 따라 비상 근무체제에 돌입할 예정이다.

1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마이삭은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3㎞의 속도로 북북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35hPa, 강풍반경은 380㎞, 최대풍속은 초속 49m다.

마이삭은 2일 오후 9시 서귀포 동쪽 약 150㎞ 부근 해상을 지나 3일 새벽 부산 인근에 상륙해 영남 지역 도시들을 관통한 뒤 강원도 동해안으로 빠져나갈 전망이다.

이날 늦은 밤 제주도 남쪽 먼바다를 시작으로 3일까지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게 된다.

태풍의 영향으로 제주는 이날 아침, 전남은 밤부터 비가 내리고 2∼3일에는 전국에 매우 강한 비바람이 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그래픽] 태풍 '마이삭' 예상 진로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해 제주도 남쪽 해상을 향해 접근 중이다. 기상청은 마이삭이 1일 오전 9시 기준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3㎞의 속도로 북북서진 중이라고 밝혔다. 중심기압은 935hPa, 강풍반경은 380㎞, 최대풍속은 초속 49m다.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특히, 마이삭은 직전 태풍 '바비'보다 강할 전망이며 거센 바람이 부는 동시에 많은 비를 뿌릴 것으로 보여 큰 피해가 예상된다.

태풍 마이삭으로 인한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경북 동해안·울릉도·독도·경남·제주도 100∼300㎜(많은 곳 400㎜ 이상), 서울·경기·강원 영서·충북·경북(동해안 제외) 100∼200㎜, 충남·전라도·서해5도 50∼150㎜다.

최대순간풍속은 제주도·경상 해안 시속 108∼180㎞(초속 30∼50m), 강원 영동·남부지방(경상 해안 제외) 72∼144㎞(초속 20∼40m), 그 밖의 지방 36∼108㎞(초속 10∼30m)로 예상된다.

바람의 세기가 초속 40∼60m면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없는 정도이며, 시설물이 바람에 날려 훼손되거나 부서질 수 있다.

각 지자체는 태풍 '마이삭'이 2002년 큰 피해를 줬던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의 경로와 유사해 각별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래픽] 역대 태풍 최대 순간 풍속 순위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26일 기상청에 따르면 제8호 태풍 '바비'는 서귀포 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에서 시속 22km로 북진하고 있다. 예상 최대순간풍속은 초속 60.0m다. 역대 태풍의 최대순간풍속은 2003년 9월 12일 '매미'가 초속 60.0m(제주)로 가장 빨랐다.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2003년 태풍 '매미'의 경우 중심 부근 최대풍속 초속 41m의 강도 '강'의 세력을 유지하며 한반도에 상륙했다.

매미는 2000년대 이후 한반도에 내습한 태풍 중 바람 세기가 가장 강했다. 당시 제주에서 순간 최대풍속 초속 60m가 관측됐다. 시속으로 계산하면 216㎞에 달하는 엄청난 강풍이다.

앞서 지난 26일 태풍 바비가 우리나라 최외곽 가거도를 통과할 때는 최대순간풍속이 초속 66.1m에 달했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된 바 있다.

제주도는 태풍의 이동경로를 예의주시하며 긴장의 고삐를 죄고 있다.

태풍 대비 비상 1단계 상태인 제주도는 오전 11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태풍에 대비한다.

도는 태풍이 근접함에 따라 항공기 결항 체류객 관리, 해수욕장과 주요 시설물 관리, 대중교통 운행 상황 및 교통흐름 관리, 다중이용시설 코로나19 관련 방역수칙 준수 등 각종 위험 요인에 대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태풍 북상 부산항 먹구름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제9호 태풍 '마이삭'이 한반도를 향해 북상 중인 1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상공으로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다. 2020.9.1 ccho@yna.co.kr



해안·계곡·공사장·낙석위험지역에 안전선을 설치하고, 바람에 날릴 우려가 있는 시설물의 고정 작업은 물론 차량 침수 우려지역인 한천·남수각 등의 차량 출입 제한조치 등을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도는 또 제주해경과 함께 관내 항·포구 위험구역 등 90여곳을 중심으로 순찰을 강화하고 대형경비함정을 배치해 조업하는 어선의 대피를 유도할 계획이다.

마이삭이 인근을 지날 것으로 보이는 부산도 긴장하고 있다.

특히 긴 장마에 이어진 집중 호우 때 발생한 피해가 완전히 복구되지 않은 상태에서 강한 태풍이 내습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어느 때보다 대응태세를 높일 예정이다.

부산시는 태풍 근접시점에 따라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즉각 가동하고 전 공무원이 단계별로 비상 근무하도록 할 예정이다.

태풍 내습에 따른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사태 우려 지역이나 급경사지, 붕괴 위험이 있는 옹벽이나 낙석 발생지역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태풍 마이삭 강풍에 넘어진 가로수
(나하<일본 오키나와> 교도=연합뉴스) 1일 오전 일본 오키나와 나하(那覇)시 한 도로에 강풍에 넘어진 뒤 철거하려고 절단된 가로수가 쌓여있다. 9호 태풍 마이삭은 이날 오전 오키나와 부근을 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0.9.1 chungwon@yna.co.kr



특히 급경사지, 공사장, 저지대 방재시설, 침수 우려 도로 등 재해우려지역에 대한 예찰을 강화한다.

침수피해를 막기 위해 배수펌프장 59곳과 빗물 저류시설, 침수피해가 잦은 하수관로 기능을 살펴보고 물난리가 되풀이되는 저지대 주민 안전대책도 재확인할 예정이다.

경남도 역시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이번 태풍은 매우 강한 바람과 많은 비를 동반하고 태풍 상륙이 예상되는 2∼3일은 한달 중 해수위가 높은 시기여서 폭풍해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경남도는 해안가 저지대와 해안도로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배수장 가동점검, 침수 우려지역 주민 사전 대피, 지하 영업장 영업중지 권고, 지하 주차장 차량 대피 등 인명피해 예방에 나섰다.

연합뉴스

태풍 '마이삭' 제주 접근중
(서귀포=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해 제주도 남쪽 해상을 향해 접근 중인 가운데 1일 오전 서귀포시 토평동 동서교통 통합관제실에서 관계자들이 태풍의 예상 진로를 살펴보고 있다. 2020.9.1 jihopark@yna.co.kr



타워크레인, 옥외광고물, 수산물 양식장, 코로나19 선별진료소, 그늘막 등 강풍에 취약한 시설물에 대해 결박·고정 여부도 점검하고 있다.

도는 이날 도청 간부 공무원이 일선 시·군을 방문해 태풍 대비사항과 협력체제를 직접 점검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기상청 태풍예보에 따라 비상 근무에 들어가기로 하는 등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태풍피해가 최소화하도록 대비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지난달 31일 마이삭 선제 대응을 위한 상황판단 회의를 도내 22개 시군과 함께 열고 "인명·재산 피해가 없도록 사전조치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다.

(황봉규, 오수희, 여운창, 변지철)

bjc@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