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항공사들의 엇갈리는 희비

이스타항공, 결국 600여명 정리해고…항공업계 칼바람 불어닥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스타항공 직원 600여명이 끝내 정리해고 수순에 들어갔다. 규모만 600여명이다. 제주항공과 인수합병(M&A)이 무산된 이후 구조조정이 본격화된 것이다. 다른 항공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위기를 겪고 있는 항공사들 역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조선비즈

이스타항공 실소유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과 서울 강서구에 있는 이스타항공 본사.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타항공 직원 600여명 끝내 거리로"

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보유 항공기 6대를 운항하는 데 필요한 인력 420명을 제외한 600여명을 정리해고한다. 이날 오후 중 해고 대상자에게 개별 연락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스타항공은 당초 700여명을 감원할 계획이었지만, 지난달 이미 98명이 희망퇴직을 했기 때문에 남은 감원 인력은 600여명이다. 이스타항공은 "회사가 임금을 지불할 능력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한 달도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안타깝게도 비록 지금은 이런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지만, 여건이 나아지면 꼭 이분들을 재고용을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해고 직원들은 실업급여와 함께 정부에서 밀린 임금을 일부 보존해주는 체당금을 받을 예정이라고 한다.

이스타항공 직원들은 "정부에서 대량 해고를 묵인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박이삼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 위원장은 "실소유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책임을 회피하면서 끝내 600여명이 거리로 나앉게 됐다"며 "정부도 말로만 ‘항공산업 살리겠다’고 하며 대량 해고 사태에는 침묵하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모두 이상직과 한 편"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지방노동위원회에 해고 무효 구제 신청을 할 계획이다.

이스타항공은 다른 예비 투자자에게 투자 의향서를 다시 발송할 예정이다.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뒤 양해각서(MOU) 체결 등을 거쳐 이달 말이나 10월 초쯤 법정관리(회생절차)를 신청할 계획이다. 다만 코로나19가 재확산 여파에 따른 항공업계 침체로 차기 인수자를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 아시아나, LCC도 칼바람 전망

다른 항공사도 사정은 비슷하다. HDC현대산업개발(294870)사실상 인수합병이 무산된 아시아나항공은 다시 채권단 관리 체제로 들어갈 전망이다.

아시아나항공이 HDC에 계약 해지를 공식 통보하면, 아시아나항공은 다시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자회사로 편입된다. 아시아나항공이 다시 채권단 관리 체제에 들어가면 2014년 12월 자율협약을 졸업 후 6년 만이다. 채권단 관리 하에선 경영진 교체,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뿐 아니라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조선비즈

서울 강서구 오쇠동 아시아나항공 본사.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도 위태로운 건 마찬가지다.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경우 여객 의존도가 높은 LCC 상당수가 유동성 위기를 겪을 거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제주항공(089590)은 지난 상반기 부채비율이 869%로 지난해 대비 2배 늘어났고, 진에어(272450)도 작년 대비 2배 늘어난 592%이다. 에어부산 부채비율은 1883.2%로 지난해 하반기 대비 1000%P 이상 급증했다. 이들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인력 구조조정 수순을 밟거나 청산에 따른 대규모 실직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 입장에선 항공사들 대출을 지분으로 전환해주는 방식으로 금융 비용을 낮춰주는 방법 외에는 많지 않을 것"이라며 "항공업계가 워낙 수익성도 없고 부채도 높으니 산업은행이나 정부에서 개입하려고 하기보다는 시장 논리에 맡겨 매각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라고 말했다.

김우영 기자(young@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