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항공사들의 엇갈리는 희비

이스타항공 노조, 605명 대량 정리해고 "이상직 처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 의원 편법증여와 불법적 구조조정 지시"

"무급순환휴직 제시했으나 사측 정리해고 강행"

"사측 5억 체납해 고용유지 지원금도 못 받아"

전북CBS 송승민 기자

노컷뉴스

이스타항공 노조와 민주노총 전북본부가 9일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편법증여와 불법적 구조조정을 지시한 이상직 의원을 처벌하고 정리해고를 철회하라"고 정부와 여당에 촉구했다.(사진=송승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타항공의 매각이 불발되고 한 달여 만에 직원 605명이 정리해고 된 가운데 노조가 창업주인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의 처벌과 정리해고 철회,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이스타항공 노조는 9일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편법증여와 불법적 구조조정을 지시한 이 의원을 처벌하고 정리해고를 철회하라"고 정부와 여당에 촉구했다.

노조는 "2월 말 임금 삭감에 합의, 5월 초에는 추가 임금 삭감안을 제시했고 6월에는 체불임금 일부 포기선언도 하며 고통을 분담해왔다"며 "정리해고를 막기 위해 '무급' 순환휴직까지 제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경영진은 이를 전혀 검토하지 않고 정리해고를 강행하고 사모펀드와의 매각협상내용에 대해서는 철저히 숨겼다"며 "이스타항공은 노동자의 절규에 가까운 목소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정부와 더불어민주당도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다.

노조는 "대통령도 '지금(코로나 19) 상황에서 기업의 사회적 채임은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말했지만 정작 집권여당 소속 국회의원이 오너인 기업에서 사회적 책임은 찾아볼 수 없다"며 "집권여당을 등에 업은 이스타항공의 오너 이 의원이 노동자들의 생존권은 파리 목숨처럼 내팽개치는 파렴치한 행태를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컷뉴스

(사진=박종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타항공 노조 박이삼 위원장은 "국토교통부가 저비용항공사 통폐합의 기조를 갖고 있으며 이스타항공과 제주항공의 합병을 부추겼다"며 "국토부는 제주항공이 매각을 포기하자 '법정관리 들어가라'라는 말만하고 있다"고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를 지적했다.

또 직원들은 이스타항공 측이 고용보험료 5억 원을 체납해 특별고용업종에 대한 고용유지 지원금도 받을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박 위원장은 "이 의원은 민주당 의원 중 보유재산 1위로 2백억 원의 재산신고를 했으나 단 한 푼의 사재출연 없이 인원 감축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이 의원은 임금체불이나 구조조정에 대해 어떤 언급도 없이 더불어민주당 뒤에 숨어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12월 18일 제주항공과 매각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 주식매매계약(SPA)을 맺었다. 이스타항공은 최대 주주인 이스타홀딩스와 기타 지분 등 51.17%를 제주항공에 양도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그러나 제주항공이 지난 5월 7일 250억 원에 달하는 체불 임금 해소를 이스타항공 측에 요구하면서 인수 작업 논의가 중단됐다. 제주항공은 지난달 18일 이스타항공 인수계약 해지를 선언했고, 이스타항공 직원 605명이 정리해고됐다.

한편,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9일 "이스타항공의 실질적 오너인 이 의원이 사재출연 등으로 노동자 일자리 위기에 책임을 지기 바란다"고 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