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LG판 新 가로본능 '윙'…다음은 롤러블 도전(종합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0도 회전 메인 화면으로 유튜브 동영상 크게 보고

세컨드 스크린에서 댓글 쓰고 멀티태스킹 최적화

260g으로 무게 줄이고…20만회 스위블 테스트

짐벌모션 카메라는 영상촬영에 최적화…국내 내달 출시

아시아경제

LG 윙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LG전자는 접지 않고 돌렸다. 'LG 윙'은 영상을 보거나 사진을 찍을 때, 멀티태스킹 도중에 느끼는 사소한 불편함을 돌리는 화면으로 없앴다. 틀에 박힌 스마트폰 시장에서 더 이상 같은 방식으로는 판을 바꿀 수 없다는 절박함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14일 LG전자는 오후 11시부터 30분에 걸쳐 LG 윙을 소개하는 이벤트를 열었다. 오프라인 행사 없이 온라인으로 전 세계에 전략 스마트폰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글로벌 LG전자 임직원들이 등장해 '익스플로러 프로젝트'의 전략과 비전을 소개하고 유튜버인 언박스 테라피가 LG 윙 특징을 설명했다. 유튜버 영국남자, 아지랜드, 잭 킹 등의 사용기도 영상으로 전달했다. LG 윙은 국내에서 10월 중 출시 예정이다.


LG전자 영국법인 소속 앤드류 코플린은 "지난 몇 년 간 출시된 신제품은 전 버전과 동일한 디자인에 스펙만 약간 업그레이드 된버전이었고 새로운 것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커졌다"며 "틀에 박힌 폼팩터에서 벗어나는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는 비슷한 외형과 기능을 가진 기존 폰들과 다른 접근으로 위험을 감수하며 새로운 기회에 접근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돌리는 화면' 승부수 통할까
아시아경제

LG 윙은 6.8인치 메인 스크린에 3.9인치 세컨드 스크린을 장착해 90도로 돌리면 T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의 스마트폰이다. '스위블 모드'로 화면을 돌리면 세컨드 스크린과 다용도로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하나의 앱으로 두 화면을 모두 사용하거나, 두 개의 앱 동시 사용도 가능하다. 유튜버 언박스 테라피는 "스위블 디자인은 완전히 달라진 홈 화면 시작으로 스마트폰 기능에 변화를 가져왔다"며 "영상을 보다가 화면을 터치해서 컨트롤 아이콘이 뜨거나 중요한 장면에서 문자나 전화가 오는 것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소개했다.


하나의 앱을 두 화면에 실행할 경우 보다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튜브로 영상을 보면서 세컨드 스크린으로 재생ㆍ빨리감기 등 영상을 조정할 수 있다.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 '픽처 인 픽처(PIP)' 기능을 활용하면 유튜브 영상을 보며 세컨드 스크린에서 콘텐츠 목록을 보고 댓글 작성도 가능하다. 즐겨쓰는 앱 조합을 설정하는 '멀티 앱' 기능을 이용하면 터치 한번으로 두 앱을 두 화면에 띄울 수 있다.


아시아경제

LG 윙은 6.8인치 메인 스크린에 3.9인치 세컨드 스크린을 장착해 90도로 돌리면 T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두개의 앱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하나의 앱을 두개 화면에 띄워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언박스 테라피는 "넷플릭스를 보며 웹서핑을 하고, 요리 영상보며 타이머를 맞출 수 있어 멀티태스킹이 한결 쉽고 자유롭다"며 "메인 스크린에서 사진이나 영상을 띄워놓고 세컨드 스크린에서 사진 미리보기를 하거나 두 개의 모니터를 쓰는 것처럼 영상 편집도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동영상에 최적…무게 최소화에 방점
아시아경제

메인 스크린으로 사진이나 영상을 보고 세컨드 스크린에서 미리보기나 편집도 가능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두 개의 화면이 장착됐지만 무게는 260g에 불과해 폴더블 폰보다 20g 더 가볍다. 유튜버 영국남자는 "견고하고 그립감이 편안해서 들고 있기에 편하다"고 평가했다. LG전자는 동영상 촬영을 즐기는 이들에게 꼭 필요한 '짐벌 모션 카메라' 기능으로 카메라 기능을 한 단계 혁신했다. T자 형태로 한 손으로 촬영이 가능한 폼팩터의 장점을 살렸다. 짐벌은 폰이나 카메라 등으로 영상을 촬영할 때 카메라가 흔들리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을 만들어 안정적으로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도와주는 장비다.


LG전자는 디스플레이가 두개인만큼 전체 무게를 줄이기 위해 부단히 애를 썼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소재를 사용했고 제품 외형이나 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에 구멍을 내서 무게를 줄이는 타공 기법을 활용했다. 김아현 LG전자 책임은 "당초 무게가 314g였는데 메탈 합금 소재를 이용해 프레임 두께를 최소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16.1g를 줄이고, 힌지 모듈의 크기를 최소화해서 5.3g를 더 줄였다"며 "LG 윙은 지금까지 출시된 새 폼팩터폰 중 가장 가볍다"고 설명했다.


정민용 LG전자 선임은 "LG 윙은 스위블 했을 때와 안 했을 때 등 여러 각도의 낙하 테스트 등을 거쳤다. 20만회 이상 절곡 테스트를 반복한 결과 사용 연한 중 안정감 있는 스위블 동작이 유지됐다"며 "발수 코팅 기술을 적용하여 일상 생활에 문제가 되지 않는 수준의 생활 방수 기능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외신 반응 "삼성과 다른 길…성패 판단 이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신들도 LG전자가 획일화된 스마트폰 시장에 혁신을 가져왔고 삼성과 다른 길을 택했다고 평가했다. 나인투파이브구글은 "스마트폰 디자인이 절정에 이르면서 새로운 폼팩터들이 틀을 깨고 있다. 삼성, 모토로라 등이 폴더블을 개발하는 동안 LG는 완전히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LG 윙의 새로운 사용자 경험 확장을 위해서는 앱 개발사들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더 버지는 "LG 윙은 듀얼스크린의 스마트폰 트렌드와 2007년 출시한 모바일TV폰(VX9400)에서 영감을 받은 제품이며 LG는 새 폼팩터가 구현할 기능에 큰 야망을 가지고 있다"며 "멀티 태스킹 기능이 확장되려면 세컨드 스크린을 수용하는 앱 개발사들의 참여가 중요하고 그렇지 않다면 자체 소프트웨어에 국한된 기능으로 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IT전문매체 씨넷은 "LG 윙이 성공할 지를 판단하는 것은 이르다"면서도 "스마트폰 산업이 혁신을 피하는 것에 받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사소한 개선이 있는 직사각형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것에 행복해한다"고 밝혔다.


윙 못지 않게 주목받은 '롤러블'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 윙 공개 행사 말미에 깜짝 등장한 롤러블 폰 실루엣은 잠깐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14일 공개된 영상의 엔딩 크레딧이 올라간 후 'Hold your breath(숨을 죽이고 기다리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롤러블 스마트폰을 암시하는 형상이 드러났다. 검은 영상 배경에 아래방향에서 본 형태만 보이지만 손잡이 부분을 서랍처럼 열었다 닫으면서 화면이 확장된다.


그동안 LG전자가 롤러블 폰을 준비한다는 소문은 무성했으나 출시 계획을 공식화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롤러블 스마트폰은 말아서 가지고 다니다가 대화면이 필요할 때 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LG 윙에 이어 롤러블 폰은 LG전자의 스마트폰 혁신 전략 '익스플로러 프로젝트'의 두번째 제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플래그십 스마트폰 라인업 중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사용성을 제공하는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춘 스마트폰의 ‘진화된 사용성’에 무게 중심을 두고 성장 가능성 있는 영역을 발굴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10여 년간 획일화된 스마트폰 시장에서 탈피해 새로운 모바일 영역을 선점하는 것은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앤드류 코플린은 "실용적인 혁신을 추구하는 LG 모바일의 철학은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를 통해 실현될 것"이라며 "익스플로러 프로젝트는 단순히 하나의 제품에 대한 것이 아니며 오늘, 그리고 앞으로 LG 모바일을 통해 만나게 될 새롭고 혁신적인 폼팩터와 경험 모두에 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