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지역문화재가 관광자원'…경남 문화재 활용사업 37선 선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화재 야행·생생문화재·향교·전통산사·종갓집 등 분야

연합뉴스

통영문화재 야행
[경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연합뉴스) 황봉규 기자 = 경남도는 내년도 문화재청의 지역문화재 활용 공모사업에 도내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37선이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분야별로 문화재야행 7선, 생생문화재 10선,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 13선,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 4선, 고택·종갓집 활용 3선 등이다.

올해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32선과 비교해 5선이 추가 선정됐다.

문화재야행 사업은 지역 내 문화유산과 주변 문화 콘텐츠를 하나로 묶어 야간에 특화된 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에 창원·통영·사천·김해·밀양·거제·함안 등 7개 시·군의 문화재 야행사업이 선정됐다.

특히 내년에 새롭게 선보일 '진해 문화재야행'은 문화재청 공모사업인 근대역사문화공간 재생 활성화 사업과 연계 추진한다.

함안은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 선정과 함께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말이산고분군에서 즐기는 밤 나들이'의 야행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생생문화재 사업은 문화재가 역사교육의 장이자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기획된 프로그램형 사업이다.

김해의 '톡(Talk)하면 통(通)하는 생생 가야나들이', 창녕의 '창녕의 옛 주인과 지혜를 만나다', 하동의 '2021 천년 하동의 재발견, 두 번째 이야기', 산청의 '목화야 놀자' 등 총 10건이 선정됐다.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은 향교와 서원을 사람과 이야기로 가득한 생기 넘치는 문화공간이면서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고 인문정신과 청소년 인성을 함양하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진주 충의사의 '법고창신 가호서원', 사천향교의 '6기예(六技藝)로 사천향교에서 놀아보자' 등 13건이 선정됐다. 내년에는 통영향교가 추가로 선정돼 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은 인문학적 정신유산과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한 전통산사의 문화재적 가치와 의미를 체험·공연·답사 등의 형태로 제공한다.

창원 성주사의 '성인이 머무는 곳, 성주사로 가자', 고성 옥천사의 '봉쥬르 시왕, 하와유 나한', 거제 신광사의 '석불의 미소', 남해 화방사의 '나도! 남해, 화방사 문화유산 발굴단' 등 4건의 산사가 고유한 이야기를 담은 행사를 준비한다.

고택·종갓집 활용사업은 고택·종갓집의 전통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체험할 기회를 준다.

밀양시 교동 손씨고가의 '문화객가(文化客家), 전통을 잇고 미래를 품다', 함양군 일두고택의 '고택아 놀자', 거창군 동계종택의 '의리대가 동계종가' 3건의 고택·종갓집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김영선 도 가야문화유산과장은 "초광역협력 가야문화권 조성사업 기본계획에 따라 '가야문화유산 실감형 콘텐츠 제작' 등 도민이 직접 주도하고 체감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문화재 활용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bon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