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추미애 아들 군복무 진실공방

추미애 답할수록 '아들 민원전화' 미궁속…檢 압수물 분석 주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본인 이어 남편 통화도 부인…신원식은 '여성' 주장

녹취파일 의혹 풀 '키'…秋 "근거없는 세치혀" 당당

뉴스1

추미애 법무부 장관. 2020.9.17/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서미선 기자 =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아들 서모씨(27)의 군복무 당시 휴가연장을 위해 본인과 남편 서모 변호사 모두 국방부에 민원을 넣은 바 없다고 주장하며 연락 주체가 누구인지 검찰 수사에서 밝혀질지 주목된다.

17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씨 상관인 미2사단 지역대 지원반장이 작성한 당시 '병가 조치 면담기록' 문건엔 "(서씨) 부모님께서 민원을 넣으신 것으로 확인"이라고 적혔다.

추 장관은 이와 관련 지난 1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선 자신은 국방부 민원실에 전화한 사실이 없다면서 남편의 연락 여부엔 "물어볼 형편이 못 된다"고 구체적 답변을 피했다.

하루 뒤인 15일 서울동부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김덕곤)는 국방부 압수수색을 통해 민원실에서 통화 녹취파일 1500여건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신원식 국민의당 의원은 전날(16일) 국방부 민원실에 전화한 사람은 여성이고, 전화를 받은 직원이 추 장관 남편 이름으로 신상을 기재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연락주체가 추 장관으로 좁혀지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강해지는 가운데 추 장관은 이날 "남편에게도 '민원을 넣은 적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추가로 밝혔다. 국방부가 작성사실을 인정한 해당 문건 내용을 추 장관이 전면 부인하며 검찰의 압수물 분석 결과엔 더욱 눈길이 쏠리게 됐다.

당초 삭제된 것으로 알려진 해당 녹취파일은 국방부 메인서버에 저장돼있던 것으로 전해지며 이번 의혹을 푸는 결정적 단서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추 장관은 국방부 민원실 연락과 관련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을 받고 있다.

추 장관은 여기에 더해 야당의 공세도 강한 어조로 받아쳤다.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이 '추 장관이나 남편이 민원실에 전화 안 했다는 말에 책임질 수 있냐'고 묻자 추 장관은 "책임이란 용어는 그런 때 쓰는 거 아니다. 지금까지 몇 달 동안 부풀려온 억지와 궤변엔 어떤 책임을 지겠나. 저는 무한 인내로 참고 있다"고 답했다.

검찰이 아들 의혹과 관련 소환을 통보하면 응할 것이냐는 질문에도 "그것이 바로 정쟁이고 정치공세"라며 "저에 대한 고발은 매일 한두건씩 생기는데 다 응해서 출석하면 제 업무는 어떻게 보느냐"고 반문했다.

추 장관은 김 의원이 질의를 마치고 들어가라고 하자 답변 요구가 없었음에도 "공정은 근거 없는 세치 혀에서 나오는 게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추 장관은 당시 의원실 보좌관이 군부대 측에 전화했는지에 관해선 이날도 "수사기관의 신속한 수사 결과를 기다릴 뿐"이라며 사실 여부를 알 수 없다는 취지로 답했다.

이날 대정부질문에서도 가족과 관련해 감정에 호소하는 전략이 지속됐다. 추 장관은 "다리아픈 아들이 카투사를 자원해 '편하다고 알려져 있으니 다행이다' 생각했는데 아침일찍 무거운 장비를 완정하고 구보, 도보로 수 킬로미터를 뛰어야 하는 힘든 훈련을 받은 줄 알게 됐다"며 "사회인으로 잘 활동하는 아들 사생활을 더 이상 캐지 말아달라"고 했다.

야당의 특임검사 임명 등 촉구엔 거듭 뚜렷이 선을 그었다. 추 장관은 "이 사건 피고발인인 입장에서 검찰총장을 지휘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검찰개혁 완수 의지도 강조했다. 추 장관은 "제 사건을 떠나, 검찰이 지금까지 '캐비닛 미제'라고 사건을 넣어두고 적정한 때 꺼내서 활용한다는 것을 사례를 통해 잘 알고 있다"며 개선해야 할 검찰문화"라고 밝혔다.
smith@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