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다시 뒤틀린 '틱톡 갈등', 합의해도 '공'은 中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쟁점은 ‘틱톡 글로벌’ 지배력
- 아전인수 해석...이사회도 쟁점
- ‘공’ 쥔 中정부


파이낸셜뉴스

[베이징=AP/뉴시스] 17일 동영상 공유앱 틱톡 모회사인 중국 바이트댄스 본사.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의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 협상이 다시 안갯속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 매각 합의를 승인한지 불과 이틀 만에 지분율을 놓고 뒤틀렸다. 다만 ‘공’은 미국에서 중국으로 넘어온 형국이 됐다. 모든 합의가 원만하게 진행되더라도 중국 정부가 승인을 하지 않으면 합의는 물거품이 된다.

■쟁점은 ‘틱톡 글로벌’ 지배력
22일 주요 외신을 종합하면 틱톡 합의에서 쟁점은 틱톡·오라클·월마트가 합의를 통해 새로 출범 시킬 회사 ‘틱톡 글로벌’ 대한 지배력을 누가 갖는지 여부다.

한 기업에 대한 지배력은 곧 통제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하기 때문에 통상 합병·매각 협상에서 핵심이다.

만약 미국이 틱톡 미국 내 사업을 컨트롤할 수 없다면 틱톡 제재의 명분으로 내세운 국가안보 위협도 해소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구태여 매각 합의를 진행시킬 명분이 없다. 오히려 틱톡 폐쇄가 미국 입장에선 안보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9일(현지시간) 합의를 승인하면서 밝혔던 틱톡 글로벌의 지분은 오라클(12.5%)과 월마트(7.5%)가 20%를 나눠가는 방안이었다. 여기다 기존 미국 투자자들의 지분까지 합치면 틱톡 전체 지분의 53%를 미국이 보유하게 된다. 미국이 ‘힘’을 갖게 되는 구조다. 중국 지분은 36%, 유럽 지역 투자자들은 11% 수준이다.

그러나 틱톡의 모기업 바이트댄스는 전혀 다른 입장이다. 이 회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다음날 성명을 내고 틱톡 글로벌은 설립 단계에서 자사가 100% 지분을 가지게 되며 이후에 오라클과 월마트가 참여하는 IPO를 거쳐 지분을 80%로 낮춘다고 주장했다. 결국 틱톡 글로벌이 출범해도 바이트댄스의 자회사일 뿐이며 앞으로도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반박했다. 그는 21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틱톡은 오라클에 의해 전적으로 통제될 것”이라며 “그들이 완전히 통제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면 우리는 거래를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라클은 역시 “틱톡 글로벌의 설립 후 오라클, 월마트가 투자하고 주식은 이들 소유자에 배분될 것”이라며 “미국이 대주주가 되고 바이트댄스는 소유권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오라클 소식통을 인용해 틱톡 글로벌의 지분 36%는 중국 주주, 53%는 오라클·월마트와 제너럴 애틀랜틱, 타이거 매니지먼트, 세퀴이아 캐피탈 등 미국 주주들이 차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파이낸셜뉴스

/사진=뉴스1 외신화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전인수 해석...이사회도 쟁점
이처럼 양측의 지분율에 차이가 나는 것은 바이트댄스에 투자한 외국기업의 지분을 어느 쪽에 포함시킬지 서로 판단이 다르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오라클·월마트가 갖게 될 지분율 20%와 바이트댄스에 투자한 미국 회사의 지분율 40%를 ‘직·간접적으로’ 합쳐서 53%로 계산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트댄스는 자사에 투자한 미국·유럽 투자자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전체의 바이트댄스라고 보고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지분에서 오라클과 월마트 지분율 20%만 제외시켜 80%라는 수치를 제시했다.

즉 미국은 바이트댄스에 투자한 자국 기업을 ‘미국’이라는 개념으로 규정했고 바이트댄스는 국가보다는 하나의 투자기업에 ‘방점’을 찍은 셈이 된다. 전형적인 아전인수식 해석이다.

지분과 연계된 또 다른 쟁점은 틱톡 글로벌의 이사회 구성 문제다. 미국은 이사 5명 중 4명을 미국인이 자치할 것이라고 했지만 바이트댄스는 바이트댄스 창업자와 현 이사가 참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사회는 회사의 업무집행에 관한 모든 의사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세력을 쥐느냐 여부에 경영권 행사 권한이 갈린다.

파이낸셜뉴스

/사진=뉴스1 외신화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 쥔 中정부
지분과 이사회 구성이 원만하게 합의되고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을 번복하지 않더라도 넘어야할 산은 남아 있다.

중국 정부가 지난달 28일 ‘수출제한 기술 목록’ 규정을 수정 발표하면서 틱톡이 오라클·월마트와 구조조정을 위해선 ‘중국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틱톡 거래 금지조치를 ‘국가 안보를 내세운 패권주의’로 인식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틱톡 기술 자체를 국가경제의 안보로 규정하고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 승인을 거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중국 정부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후지진 환구시보 편집장은 21일 밤 트위터에서 “내가 아는 바에 따르면 거래가 중국의 국가 안보와 이익, 존엄성을 위태롭게 할 것이기 때문에 바이트댄스와 오라클, 월마트 간 거래를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이 오는 27일 미국의 반응을 본 뒤 승인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미 상무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합의 승인 결정 당시 자국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에서 틱톡 앱 제공을 금지키로 했던 조치를 1주일 연기한다고 발표했었다. 그 마지막 시점이 27일 밤 11시59분이다. 다시 말해 미국 내 틱톡의 향후 충격 정도를 파악한 뒤 자국과 틱톡의 이익이 극대화되는 방향에서 승인, 거부, 혹은 조건부 승인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취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기본적인 합의 조건에 대한 당사자들의 이견은 트럼프 대통령이 원칙적으로 합의안을 승인한다고 밝힌 뒤에도 거래의 불확실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