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사설]자살률 1위 오명, 꾸준하고 촘촘한 대책 따라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계청이 지난해 사망 원인 통계 발표를 통해 자살률이 2년 연속 높아졌다고 밝혔다. 인구 10만명당 2013년 28.5명에서 2017년 24.3명으로 꾸준히 낮아지던 것이 2018년 26.6명, 2019년 26.9명으로 다시 올라갔다는 것이다. 지난해에만 전년보다 129명 늘어난 1만3799명이 극단선택으로 숨을 거뒀다는 것이니 하루 평균 37.8명이 스스로 목숨을 버린 셈이다. 또 다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의 불명예를 안게 됐다. 다만 올해 상반기까지의 자살 사망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2명(7.4%) 줄어든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10대, 20대, 30대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로 나타나 청소년과 젊은 층이 겪고 있는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준다. 젊은 층에서 극단 선택 기류가 높다는 것은 그 사회의 건강성이 위협받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극단 선택의 원인은 대체적으로 10~20대는 정신적 질환, 30~50대는 경제적 문제, 60대 이상은 신체 질환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개별 원인과 함께 취업과 고용, 사회적 고립등 사회구조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극단적 선택을 부를 수도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고립되고 불안정한 젊은 계층을 파악하고 심리 상담을 꾸준히 이어가는 등 생애주기별로 맞춤 지원을 촘촘하게 해야만 효과가 서서히 나타난다고 지적한다.

정부도 2022년까지 자살률을 17명으로 낮춘다는 목표를 세우고 국민생명 지키기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지만 현 추세라면 목표 달성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정부 정책이 현실과 괴리되어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자살률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와 달리 충북 보은군, 영동군 등 일부 지자체에서 맞춤형 상담과 심리치료 등으로 자살률을 끌어내린 성과는 참고할 만하다.

코로나까지 겹쳐 전례없이 삶이 팍팍해진 현실에서 정부와 지자체, 민간 기관 등은 ‘심리방역’ 등 보다 다양하고 세심한 방안 마련에 적극 힘을 쏟아야 한다.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는 국민들을 선제적으로 돌봐야 할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크기 때문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