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서울시, 노인지원주택 입주자 추가 모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 최초 도입 혁신적 공공임대주택

주거공간에 살면서 복지서비스 수혜

헤럴드경제

서울시 안심가득 노인지원주택 포스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서울시는 ‘안심가득 노인지원주택’을 올해 90가구를 제공하고 2022년까지 총 190호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노인지원주택(Seniors‘ Supportive Housing)은 주거복지와 돌봄서비스를 결합한 공공임대주택으로,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주거코디(사회복지사)가 이사부터 돌봄까지 전담 지원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외롭지 않게 생활할 수 있다.

이미 13명의 어르신이 노인지원주택에 입주해 생활하고 있다. 서울시는 하반기 76가구에 입주할 어르신을 추가 모집한다.

신규 입주물량은 양천구 28가구, 금천구 15가구, 동대문구 22가구, 강동구 11가구다. 신청 가능 대상은 만 65세 이상의 서울시 거주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면서 경증치매 및 노인성 질환을 진단받은 어르신이다. 장기요양보험법 시행령에 따른 장기요양 인지지원등급자 또는 노인성 질환을 진단받은 자가 신청대상이다.

입주희망자는 입주신청서 및 생활계획서를 10월15일~16일 서울주택도시공사에 방문 제출하거나, 자치구 및 동주민센터에 10월19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노인지원주택은 단독거주 또는 희망 시 공동생활이 가능하며, 주택 전용면적은 평균 34.9㎡(약 10.56평)로 주택위치와 면적에 따라 보증금 300만원에 월세 평균 27만원이다. 임대기간은 2년 단위이며,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하다.

입주 어르신은 주거코디(사회복지사)로부터 입주자별 특성과 욕구가 반영된 맞춤형 주거유지지원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입주상담·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연계 등 사회복지서비스 지원, 병원동행 같은 의료·건강관리지원, 공과금·임대료 납부 등 자립지원, 지역사회 연계 등이다.

노인지원주택에는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에 맞게 편의시설이 설치됐다. 승강기를 설치해 이동편의를 높였으며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방·화장실 등 출입문의 유효 폭을 넓혔다. 아울러 화장실 바닥을 높여 경사를 제거하고 미끄럼방지 마감재를 사용하는 등 곳곳에 안전장치를 장착했다.

김선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노인지원주택은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하는 혁신적인 공공임대주택 모델로 지역사회 안에서 생활하고 싶은 어르신들의 욕구를 반영해 독립적인 생활을 하면서도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어르신 맞춤형 주택”이라며 “서울시는 지속적인 노인 지원주택 공급을 통해 어르신들이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도 이사와 돌봄 걱정 없이 지역에서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hoig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