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맛있게 살자! 맛집·요리·레시피

여행도 '뉴노멀'…20대 "맛집이요? 숙소로 부르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숙박 자체가 여행이란 인식 확산에 20대 여행객, 맛집 찾아가기보다 배달로 부르는 경향↑]

머니투데이

/사진=파르나스호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맛집 찾아가는 건 귀찮고…. 저희는 숙소로 배달해요."

코로나19(COVID-19)로 바뀐 국내 여행·소비 트렌드에 20대가 가장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 20대 절반이 숙소 주변의 맛집 음식을 배달해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 자체가 여행이란 인식이 생겨나며 맛집을 찾아 다니기 보다 숙소에서 보내는 시간을 중요하게 여기는 트렌드가 반영됐다.

24일 종합숙박·모바일티켓 플랫폼 여기어때가 20대 앱(어플리케이션) 이용자 16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7%가 여행지 숙소에서 배달 음식을 주문한다고 답했다. 30대(25%), 40대(28%), 50대(0%)와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머니투데이

/그래픽=여기어때


조사에 따르면 20대는 중소형호텔 방문객(68%)은 물론, 호텔·리조트에 투숙한 경우에도 34%가 숙소로 맛집을 불렀다. 다만 자체 바비큐 수요가 두터운 대형 펜션이나 풀빌라를 찾은 여행객은 4%만 음식 배달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지에서도 배달음식을 주문하는 이유에 대해 20대 33%가 '숙소에서 나가기 귀찮아서'다. 이는 숙소에서 맛집 음식과 함께 휴식을 취하는 것만으로도 여행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 최근 호캉스(호텔+바캉스) 등을 즐기는 젊은층 사이에선 숙박과 여행을 동일시하는 트렌드가 확산하고 있다. 주변 맛집 등 관광 명소 방문을 필수 여행코스에서 제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오히려 자기 취향을 반영한 숙소에서 레저부터 휴식까지 다양한 여행 콘텐츠를 소비하는 경향이 짙어진다.

머니투데이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20대의 '식도락'에 대한 욕구가 퇴색되는 것은 아니다. 20대는 여행 시 식비 지출에도 가장 적극적이었다. 호텔·리조트 방문 시 한 끼당 적정 식비를 묻는 질문에 '2만원 이상 4만원 미만'을 고른 답변이 61%로 50대(36%)보다 높았다. 반면 '2만원 미만'을 쓴다는 20대는 22%로 같은 대답을 한 50대(38%)보다 비율이 낮았다.

펜션·풀빌라 방문객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2만원 이상 4만원 미만'을 쓰는 20대는 62%, '2만원 미만'은 19%였다. 반면 50대는 절반(50%)가 '2만원 이상 4만원 미만'을, 나머지 50%는 '2만원 미만'이라고 답했다.

여기어때 관계자는 "20대가 숙소를 '잠시 머무르는 곳'이 아닌 '취향에 따라 휴식을 누리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자연스럽게 숙소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며 주변 맛집을 배달로 즐기는 수요가 높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목 기자 mo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