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北만행 보고도 종전선언? 靑 "15일 녹화, 18일 유엔에 보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청와대 전경.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연평도 실종 공무원 피격과 시신 유기를 보고받고도 종전선언을 강조한 유엔 연설을 한 것에 대해 적절성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는 연설은 사전 녹화로 이뤄졌고 이미 유엔 본부에 전달한 상태였다고 해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24일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엔 연설을 취소하거나 하는 고려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 연설은 지난 15일 녹화돼 18일 유엔으로 보내졌다”며 “직접 참석이라면 즉석에서 바꿀 수도 있었겠지만 이번에는 수정이 매우 어려웠을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사건과 대통령의 유엔연설을 연계하지 말아달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의 제75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온라인 연설로 대체됐다. 실시간 연설이 아니라 사전 녹화된 영상을 통한 ‘녹화 연설’이었다.

문 대통령은 이 연설에서 “한반도 평화는 동북아 평화를 보장하고 세계질서 변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그 시작은 한반도 종전선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에서 비핵화와 함께 항구적 평화체제의 길을 여는 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연설은 한국시간으로 23일 새벽 1시 26분 시작해 15분 여 동안 이뤄졌다. 국방부는 연설 약 2시간 전인 22일 밤 11시쯤 실종 공무원이 북한의 총격을 받아 사망했고, 시신까지 불태워졌다는 내용을 청와대에 보고했다. 청와대가 관련 사실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문 대통령의 ‘종전선언’ 연설이 이뤄진 것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첩보 수준에서 유엔 연설을 취소하거나, 내용을 수정할 수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의 연설은 23일 1시 26분부터 16분간 방송됐는데, 같은 날 1시부터 2시 30분까지 첩보의 신빙성을 평가하는 관계장관회의가 열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빙성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엔 연설의 취소나 수정을 판단할 수는 없는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