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세스트린, 자궁내막암세포 증식·전이 억제 밝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김정식 순천향대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


국내 연구진이 대사조절체 단백질인 세스트린(sestrin2)이 단백질 복합체 mTORC1에 작용해 자궁내막암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며, 예후와도 연관이 있음을 밝혀냈다.

김정식 순천향대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와 박환우 건양대의대 교수팀은 정량 실시간 PCR(qRT-PCR)검사를 통해 자궁내막암에서는 정상 내막세포에서보다 훨씬 더 mTORC1 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고, 또한 카플란 마이어(Kaplan-Meier) 생존 분석으로 Sestrin2의 발현이 증가할수록 자궁내막암 환자들의 생존율과 무질병 생존기간(disease-free survival)이 감소하는 것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정상적인 자궁내막세포에서 세스트린이 mTORC1를 억제하는 역할만 알려져 있었고, 자궁내막암에서 세스트린이 하는 역할은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mTOR pathway와 관련된 표지자(RPTOR, MTOR, RHEB등)들 중 자궁내막암 환자조직에서는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상호 작용 분석(GEPIA, Gene Expression Profiling Interactive Analysis) 자료를 통하여 세스트린이 RPTOR유전자와 관련이 있음을 알아냈다.

김정식·박환우 교수팀은 "세스트린이 mTORC1에 작용해서 자궁내막암의 암세포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세스트린이 자궁내막암 치료의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연구"라고 설명했다.

자궁내막암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비만 환자에서 더 잘 발생한다. 노화와 비만과 연관되는 조절체가 mTORC1이다.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세스트린은 환경이나 p53, HIF-1등에 의해서도 발현이 되며 결과적으로 mTORC1을 억제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 논문은 학술저널 캔서지(Cancers,IF6.1) 9월호에 'mTOR-Dependent Role of Sestrin2 in Regulating Tumor Progression of Human Endometrial Cancer'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한편, 김정식 순천향대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2020년도 하반기 이공분야 기초 연구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에 선정돼 '자궁내막암에서 ULK1인산화에 의한 조절기전 규명 및 항암치료 타겟 발굴'연구를 진행한다.

(용어 세스트린= 스트레스에 의해 나타나는 대사조절체 단백질이다. mTOR라는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을 저해하여 암 세포증식과 노화와 관련한 퇴행성질환, 비만 및 당뇨병과 관련한 대사증후군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용어) mTORC1(mammarian target of rapamycin complex1)= 세포 성장이나 노화, 세포 대사를 조절하는 단백질 복합체다. 성장인자, 영양소, 스트레스와 에너지 상태 등에 반응해 단백질 합성, 리보좀 생합성, 자가식작용(Autophagy) 등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고 수행한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