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양주시의회 제한적 공동학구제 도입 ‘공론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정덕영 양주시의장. 사진제공=양주시의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양주=강근주 기자】 제한적 공동학구제 도입이 양주 교육혁신을 선도해 나갈 조짐이다.

양주시의회는 23일 양주희망교육포럼이 주최-주관하는 ‘2020 양주희망교육포럼’을 후원했다. 양주희망교육포럼은 더 나은 양주 교육을 소망하는 시민이 모여 작년 5월 창립했다. 학부모-교사 등 교육주체가 양주형 교육정책을 함께 설계하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 등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에 힘쓰고 있다.

이날 열린 비대면 포럼은 정덕영 양주시의장, 안순덕 이희창 시의원, 황은근 평생교육진흥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줌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포럼은 양주에 제한적 공동학구제를 도입해 동서지역 간 교육서비스 편차가 심한 양주 교육의 불균형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열렸다.

포럼 상임대표인 정덕영 의장은 “오늘 이 자리는 양주시 통학구역 혁신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집단지성의 장(場)”이라며 “양주 통학구역 혁신의 기본방향과 지향점에 대한 합의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양주는 학급당 학생 수, 교육 인프라, 통학여건 등 여러 측면에서 동서지역 간 교육 불균형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농촌지역인 서부지역은 대중교통이 불편하고 통학구역이 광범위해 버스 없이는 등-하교가 불가능하고, 학급당 학생 수가 적은 편인 반면 고읍, 삼숭, 옥정 등 신도시가 밀집해 있는 동부지역은 상대적으로 교통여건이 좋고, 대부분 신설 학교로 과대 학교와 과대 학급이 많다.

제한적 공동학구제는 주소 이전 없이 큰 학교(양주 동부)에서만 작은 학교(양주 서부)로 전학이 가능해 교육서비스 불균형을 조금이라도 완화할 수 있는 제도다.

도내에서 양주시와 같은 도농복합도시인 파주시와 김포시는 이 제도를 도입해 시행 중이며 전남 화순군은 전국 최초로 이 제도를 도입해 지역 상황에 맞는 교육서비스를 적극 제공하고 있다. 그동안 양주에서 과밀학급 해소는 지역주민과 학부모 모두 강력하게 요구해왔던 교육 현안사항으로 양주 교육혁신의 첫걸음으로 꼽혀 왔다.

파이낸셜뉴스

이희창 양주시의원. 사진제공=양주시의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2부 자유토론에 참여한 이희창 의원은 “거리두기가 최선인 코로나 시대에 과밀학급 해소는 가장 중요한 교육현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이재정 도교육감도 ‘학급당 학생 수를 OECD 평균 수준(21명)으로 감축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던 만큼 양주에 맞는 제한적 공동학구제 대한 전향적인 검토와 적극적인 교육행정을 도교육청에 요청한다”고 말했다.

양주시의회는 올해 8월 ‘양주시 고등학교 학급당 학생 수 조정 건의문’을 채택해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고교 학급당 정원을 25명 이하로 조정할 것을 도교육청에 요구한 바 있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