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투자 감축·반중 학자 입국금지… 호주에만 칼 가는 중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폴리 오스트레일리아·화웨이 호주법인

최근 구조조정 및 투자·인원 감축 나서

호주산 쇠고기 수입 금지 등 中 '보복 조치' 표면화

세계일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신화·EPA연합뉴스


중국이 정치, 외교, 경제 분야에서 여러 나라와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유독 호주에 대해 강한 보복 조치를 하고 있다.

2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중국 국영개발업체 폴리D&H의 호주 법인인 폴리 오스트레일리아는 최근 100명 이상의 직원들에게 코로나19에 따른 경영 부진 등의 이유로 연말까지 구조조정을 한다는 내용을 통보했다. 정확한 구조조정 규모는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폴리 오스트레일리아는 호주 시장에서 철수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호주 부동산에 대한 투자도 축소키로 했다. 폴리 오스트레일리아는 지난중 호주 부동산 기업인 렌드리스와 토지 거래 협상을 중단키로 한 바 있다.

폴리 오스트레일리아는 2016년 호주 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누리면서 토지 구입과 부동산 프로젝트 및 상업용 부동산 등에 투자를 늘려왔다. 모그룹인 폴리D&H는 중국내 부동산 기업 중 10번째로 큰 기업이다.

앞서 중국 최대 부동산 업체 달리안 완다는 지난해 시드니와 골드코스트의 호텔과 아파트 단지를 매각한 바 있다.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역시 호주 시장에 대한 투자와 인원을 감축키로 했다.

화웨이 호주법인은 최근 “(호주 정부의) 화웨이 5G 금지 조치로 1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면서 ”우리는 (호주 내) 직원을 1000명에서 200명 미만으로 줄였고, 내년에는 직원이 더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또 호주 5G 시장에서 화웨이 배제 결정이 난 이후 화웨이가 1억달러의 연구·개발 투자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앞서 호주 정부는 2018년 안보 위협을 이유로 화웨이가 호주의 5G 네트워크 구축사업에 통신장비를 공급하지 못하도록 결정했다.

호주 현지 중국 기업들의 이같은 조치는 호주 정부의 5G 통신망 구축사업에서 화웨이 배제로 촉발됐다. 올해 코로나19 책임 문제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문제 등을 거치면서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호주가 지난 4월 코로나19 발원지에 대한 국제 조사를 요구한 이후 중국의 ‘보복 조치’는 표면화되고 있다.

중국은 지난 5월 호주의 4개 도축장에서 생산된 쇠고기 수입을 금지하고, 호주산 보리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또 자국민에 대해 호주 유학과 관광을 자제하도록 권고했다.

경제적인 분야 외에도 중국 정부는 호주의 반중 성향 학자 입국을 금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4일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호주의 반중 학자인 클리브 해밀턴과 호주 전략정책연구소의 분석가 알렉산더 조스케의 중국 입국을 금지했다. 호주 정부가 이달 초 스파이 혐의로 중국인 학자 2명의 비자를 취소한 데 따른 보복 조치의 일환이다.

해밀턴은 중국이 해킹 등 정보 탈취를 통해 서구 국가에 침투 및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는 책을 발간한 바 있고, 조스케는 반중 선전을 부추기고 반중 이슈를 조작한 인물이라고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밝혔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거짓 정보의 전파와 중국에 대한 음해, 중국 국가 안보를 해치는 행위에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