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국정원 "수령 무오류설 불구, 김정은 두차례 사과 진일보"(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은, 통지문으로 보면 사건 보고 못받은 듯"

뉴스1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연평도 인근 공무원 북한 피격 사건 관련 현안보고를 위해 열린 정보위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0.9.25/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호승 기자,유새슬 기자 = 국가정보원은 북한군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 A씨를 사살한 것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보고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 비공개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은 오늘 북한이 보낸 통지문을 볼 때 이 사고에 대해 사전에 김 위원장이 보고를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고 말했다.

통지문과 관련, 김 의원은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말이 연속해서 나오는데, 이례적인 것이 전체주의 국가에서 최고지도자가 사과하는 예가 거의 없다"며 "'수령 무오류설'이라고 해서 사과가 미칠 파장을 고려해 사과를 한 경우가 없음에도 두 번이나 사과하고 재발 방지대책까지 통보했다는 것은 진일보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통지문을 통해 두 차례나 사과한 것에 근거해 판단하면 김 위원장이 A씨의 사살을 보고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A씨 사살을 지시한 주체에 대해서 전해철 정보위원장은 "그 보고는 없었다"며 "(우발적인 사격이었는지는) 현재까지 국정원이 판단·파악하기로는 구체적으로 없다"고 말했다.

A씨가 월북을 계획했는지에 대해서 전 위원장은 "지금까지 나온 이야기나 정보 자산에 의하면 월북으로 보이는 정황들이 있다는 관계기관의 이야기가 있었지만, 국정원은 그것에 대해 최종 판단은 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A씨의 시신과 관련, 정보위원들은 시신에 대한 조사와 전반적인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국정원 측은 정보위원들의 의견을 참작하겠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간사인 하태경 의원은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에 있어 두 가지 과제가 있는데, 국민생명·안전 보호와 남북관계개선이다. 이 두 가지 과제가 충돌할 수도, 같이 갈 수도 있는 문제다. 하지만 1원칙은 우리 국민의 생명 보호라는 원칙 하에서 우리 정부가 움직인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 중요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후속 조치도 중요한데, 진상조사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하고, 재발방지책을 진상조사 결과에 맞춰 마련해야 하는데, 그 후속 조치가 진행돼야 한다"고도 했다.

국정원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친서를 교환한 것에 대해서는 유엔 산하 정규 채널을 통해 주고 받았으며, 오늘 북한의 통지문은 남북 채널을 통해 받았다고 밝혔다.
yos547@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