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국민의힘, 북한 피격 사건 고리로 '내분' 접고 대여 공세에 올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제정책 등에 대한 갈등 수면 아래로

'안보' 이슈로 문 정부 비판 한 목소리

뉴스1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북한의 우리국민 사살 및 화형 만행 진상조사 TF 제1차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0.9.26/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경제3법과 당색 등을 두고 잠시 내분이 일었던 국민의힘이 북한의 공무원 피격 사건을 고리로 단일대오를 형성하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당의 방향성을 두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과 중진들을 중심으로 헤게모니 싸움의 조짐이 감지된 바 있다.

경제 정책 등에서 기존 보수정당에 찾아볼 수 없는 화두를 꺼내든 김 위원장에 대한 당내 반발은 보수정당의 전공 분야이자 문재인 정부와 여당을 가장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안보 이슈가 발생하자 일단 수면 밑으로 가라앉고 있다.

당내 헤게모니 싸움도 중요하지만 내년 서울·부산시장 보선을 앞두고 추석 밥상머리 민심을 잠식할 수 있는 대북문제가 발생 했을 뿐 아니라, 보수정당으로서 우리 국민이 북한군에 의해 사살된 중대 사건이 발생한 만큼 이를 좌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김 위원장과 당 소속 의원들의 행보 역시 하나로 좁혀지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6일 1차 북한의 우리 국민 사살·화형 만행 진상조사TF 제1차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원내에서는 대정부 긴급현안질문을 요구하는 등 대여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앞서 여야는 지난 25일 대북규탄 결의안 처리를 위한 원포인트 본회의를 오는 28일 열기로 합의했지만 북한의 전통문을 계기로 여당의 기류가 바뀌는 분위기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대정부 긴급현안질문까지 요구하며 여당을 압박하고 있다. 통합당 내부에서는 규탄 결의안 채택은 물론 대정부 현안질문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국민의힘은 여당이 북한의 사과 통지문을 '이례적'이라고 평가한 것과 달리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의 사과에 대해서는 '진정성'이 없다며 오히려 정부의 대응 미흡을 질타하고 있다.

김 위원장 등 당내 인사들은 문 대통령의 책임 소재를 따져야 한다며 '패륜', '만행' 등 강도 높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동안 대북유화 정책의 결과가 결국 우리 국민의 사망사건으로 돌아왔다는 것이다. 또 이번 사건을 고리로 청와대와 정부의 외교·안보라인 책임론으로 몰아가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런 행보는 과거 박근혜 정부 때 민주당의 행보를 답습하는 모습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 당시 이른바 세월호 잃어버린 7시간을 밝히라고 했던 민주당에 대해 국민의힘은 이번에는 문 대통령의 47시간을 분 초 단위로 밝히라고 압박하고 있다.

또 국민의힘은 북한 피격 사망 공무원 A(47)씨의 형 이래진(55)씨와 직접 만나 유족에 대한 지원을 약속하고 유해 수습을 정부에 요구하기로 하는 등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은 일단 추석 전까지 대여 공세 수위를 지속해 추석 밥상머리 민심을 장악한다는 계획이다.
jrk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