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비만으로 병원 찾는 환자, 무려 2만명…합병증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만은 체내의 지방이 정상 수치보다 많이 쌓인 경우를 말한다. 비만과 과체중은 다른 개념이다. 과체중은 비만과 달리 단순히 체중이 정상 수치보다 높은 경우를 말한다. 반대로 체중이 많이 나가지 않더라도, 체내 지방이 많은 사람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또한 비만으로 봐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비만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2018년까지 큰 변동이 없었지만, 2019년에 2018년 대비 무려 52% 증가한 2만 3439명이 됐다. 2019년 환자를 연령별로 보면 30세 이상 환자가 약 70%를 차지했다. 30대가 27.7%로 4249명, 40대 환자가 23.1%로 3672명이었습니다.

요양급여비용 또한 급증했다. 2015년 4억 8077만원부터 2018년 7억 9061만원까지 서서히 증가하던 요양급여비용은, 2019년 179억 9757만원으로 무려 22배가 증가했다.

비만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비교적 적어보이지만,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그렇지 않다. 성인 비만률은 2005년부터 30%를 초과해왔고, 특히 남성의 경우 2017년 41.6%로 2016년부터 40%를 돌파했다.

비만은 암,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천식,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소아 비만에도 동일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소아 비만은 잠재적 질병 위험도가 더욱 높으므로 반드시 조기에 상담하여 관리해야 한다.

원발성 비만은 에너지의 균형이 무너진 상태로, 음식으로 섭취한 칼로리가 운동으로 소비하는 칼로리보다 많을 때 체지방이 증가해 발생한다. 이차성 비만은 유전(비만 유발 유전자) 및 선천성 장애, 약물, 쿠싱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의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비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식이를 조절하고 운동을 하는 등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아 '○○ 다이어트'라는 이름의 체중 감량 방법들이 수도 없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대부분 장점과 단점을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의 상황을 적절히 고려하여 시도하는 것이 좋다.

비만 환자가 체중을 감량한다면 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혈당을 낮춰 고혈압을 개선하며 심혈관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당뇨병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증상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방암, 자궁내막암 환자는 체중 감량 시 건강이 호전되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위암 환자가 체중 감량 시 심혈관질환의 발생률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났다.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운동이 병행돼야 한다. 우리는 주변에서 수많은 다이어트 광고들을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체중 감량의 필요성, 효과의 지속성, 약물 의존도, 영양 불균형 등 다양한 요인들을 먼저 고려해야 하며, 체중조절에 실패할 경우 식사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체중 감량은 자신의 상황을 파악하고, 식사요법과 운동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계획하고, 짧은 시간에 효과를 보려고 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