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삼성, 5,330개 협력사와 공정거래 협약···“상생 생태계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1개 계열사와 1·2·3차 협력사 동반성장 기반 마련

협력사 경쟁력 확보·상생협력 생태계 구축 활동

자금·기술·인력 3대 분야 중점 지원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은 11개 계열사가 5,330개 1·2·3차 협력회사와 공정거래 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협력사와 공정거래 협약을 맺은 삼성 계열사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SDS, 삼성물산,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제일기획, 호텔신라, 세메스 등이다.

이날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 김기남 삼성전자 대표이사(부회장), 최윤호 삼성전자 사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사장), 경계현 삼성전기 대표이사(사장), 김영재 삼성전자 협력회사 협의회(협성회) 회장(대덕전자 대표이사)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삼성은 이번 협약을 통해 공정거래 문화 정착과 동반성장 활동이 3차 협력회사까지 확대되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은 지난 2011년부터 삼성과 1차 협력회사 간, 1차·2차 협력회사 간 협약을 맺어 왔으며 2018년부터는 2차·3차 협력사 간 협약까지 범위를 확대했다.

삼성전자는 2004년 국내 기업 최초로 협력회사 전담 조직을 신설해 협력회사 대상 경영환경 개선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생협력 활동을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협력회사를 대상으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자금지원, 기술·제조혁신, 인력양성 등 3대 분야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05년부터 중소·중견 협력사에 물품대금을 전액 현금으로 지급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1차 협력사가 2차 협력사와의 물품대금을 30일 이내 현금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5,000억원 규모의 물대지원펀드를 조성해 무이자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협력사 경영 안정화를 위해서도 2010년부터 1조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 협력사의 설비투자·기술개발 등 필요 자금을 저금리로 지원하고 있다. 2018년에는 1·2차 협력사 중심으로 운영해 온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3차 협력사로 확대해 3차 협력사 전용 펀드를 추가로 조성해 운용하고 있다.

또 협력사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2009년부터 국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 기술을 소개하는 ‘우수기술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다. 2015년부터 보유 특허 2만7,000건도 무상으로 개방해 협력사뿐 아니라 미거래 중소·벤처기업들도 무상 특허 양도를 통해 언제든지 사업화나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2013년 협력회사의 교육을 전담하는 ‘상생협력아카데미 교육센터’를 신설해 협력사의 체계적인 인재 육성을 지원하고 있다. 협력사 임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총 500여개의 온·오프라인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삼성전자 임직원에게 제공되는 수준의 교육체계와 콘텐츠를 협력회사 임직원에게도 무상 지원하고 있다. 2012년부터 ‘삼성 협력회사 채용 한마당’을 개최해 협력회사 우수인력 확보와 청년 실업난 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재용기자 jyle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