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지방과 임금 격차 더 벌어져…수도권 집값 상승 이유 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15일 오전 서울 노원구 중계근린공원에서 열린 2020 노원구 일자리박람회에서 시민들이 참여업체 리스트를 확인하고 있다. 우상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인천의 상용근로자 임금총액(4월 기준)은 1년 전보다 1~2% 늘어난 반면, 강원·경남·전북·전남 등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적인 임금총액도 서울·경기 지역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지역별 임금 격차 얼마나?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0년 4월 시도별 임금·근로시간조사’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와 인천의 근로계약 1년 이상 상용직 노동자 임금총액은 각각 2.5%, 1.5% 상승했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감률인 0.2%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반면 지역 경제권은 임금이 오히려 줄었다. 울산이 -4.3%로 가장 많이 줄었고, 대전(-2.1%)·전남(-1.9%)·전북(-1.6%)·경남(-1.2%) 등도 1% 넘게 감소했다.

중앙일보

상용근로자 임금총액과 증감률.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서울은 1.1% 감소했지만, 절대적인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417만8000원)은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울산(416만6000원)·경기(379만2000원)가 뒤를 이었다. 특히 서울은 월평균 근로시간이 157.1시간으로 제주(153.5시간) 다음으로 짧아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가장 좋은 지역으로 꼽혔다.

중앙일보

상용근로자 근로시간과 증감시간.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지역별 임금은 고임금 업종이 어디에 분포하고 있느냐에 따라 희비가 갈렸다. 서울 등 수도권은 금융·보험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이 집중해 있다. 울산도 자동차·석유화학 등 대규모 제조업체와 협력업체들이 밀집해 있다. 수출 부진 등으로 울산 거주 근로자의 소득이 줄긴 했지만, 여전히 전국 2위를 차지한 배경이다. 그러나 음식·숙박업 등 소규모 서비스 비중이 높은 제주나 뚜렷한 산업 기반이 없는 강원 등은 임금 수준이 낮았다.



집값 문제도 이것 때문?



지역 간 임금 격차는 주택 가격 격차와도 연결된다. 한국감정원 통계를 기준으로 수도권 주택매매가격 지수(8월)는 2017년 1월보다 11% 상승했다. 그러나 지방권 매매지수는 같은 기간 동안 0.5% 오르는 데 그쳤다. 수도권 대도시에 양질의 일자리가 많고, 이 때문에 수도권에 살려는 수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김동원 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자리는 결국 민간 기업이 만든다"며 "기업이 일자리를 늘릴 수 있도록 세금과 노동비용 측면에서의 인센티브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8월 채용 회복, 그러나 공공 일자리만



한편 지난달 노동시장은 다소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직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851만9000명으로 지난해 8월보다 0.5% 줄었다. 여전히 종사자가 줄긴 했지만, 감소 폭은 지난해 4월(-2.0%) 저점을 찍고 조금씩 회복하는 모습이다.

중앙일보

최근 8개월 간 사업체 종사자 수.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은 신규 채용도 18.4% 증가한 88만7000명을 기록했다. 채용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지난 3월부터 석 달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6월(3%), 7월(2.2%) 증가세를 보였고, 8월에는 증가 폭을 키웠다. 그러나 이 같은 채용 증가는 대부분 공공행정(13만3000명), 보건사회복지(8000명) 등 정부 일자리사업에 의한 것이었다. 무급휴직 등 기타 이직자는 13만6000명으로 163.8% 늘었다. 민간 노동시장은 여전히 어려운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추석 전 특고·프리랜서 지원 끝낼 것"



정부는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일자리 충격 해소를 위해 고용유지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다. 노동자 고용을 유지한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고용유지지원금은 이달 23일까지 총 1조6000억원 지원됐다. 여행·관광업 등 특별고용위기 업종이 아닌 일반 업종에도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을 기존 180일에서 240일로 두 달 연장하기 위해 시행령 개정을 준비 중이다.

권기섭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특수고용노동자(특고), 프리랜서 생계 지원을 위한 2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50만원)을 지난 25일까지 6700명에게 지급했다"며 "28일 30만명, 29일 16만명에 지원해 추석 전에 전체 대상자(46만명)에 지급을 끝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