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금리인하 요구 수용률 은행별로 천차만별…금감원 점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감원 상반기 자료…"거절 사유 구체적 설명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고객의 금리 인하 요구 수용률이 은행별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용진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5대 은행 가운데 금리 인하 요구 수용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농협은행(96.8%)이었다.

이어 하나은행 94.7%, 신한은행 86.5%, 우리은행 66.3%, 국민은행 49.2% 순이었다.

연합뉴스

은행(CG)
[연합뉴스TV 제공]



지방은행을 보면 제주은행이 99.3%로 수용률이 가장 높았다.

전북은행은 68.2%였고, 광주은행(39.6%)과 경남은행(32.8%)은 각각 30%대의 수용률을 보였다.

부산은행의 수용 비율은 25.8%였다.

금리인하 요구권은 대출 후 취업·이직·승진 등으로 소득·재산이 늘거나 신용등급이 올라갔을 때 고객이 금융사에 대출금리 인하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다.

금융당국의 행정지도를 통해 2002년부터 금융권에서 자율적으로 시행하다 지난해 6월 법제화했다.

은행별로 천차만별의 수용률 수치가 나온 것에는 통계와 수용 기준의 차이 영향도 있다고 금융당국은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담만 들어와도 접수 건수로 잡는 은행이 있는가 하면 어느 정도 상담을 거쳐 수용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접수 건수로 잡는 은행도 있다"며 "접수 건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면 수용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이 법에 명시돼 있지 않아 은행별로 수용 기준이 다른 점도 개선 과제로 지적된다.

금감원은 은행별로 차이가 있는 통계·수용 기준을 점검하고 개선 사항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박용진 의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은행이 수용 거절 사유를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방안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다.

박 의원은 "현재 단순히 금리 인하 요구의 수용 여부만 통지가 되는데 거절 사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금융당국의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kong7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