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한국일보 사설] 택배노동자 살리려면 주 5일제 적극 검토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가 잇따르는 가운데 20일 서울의 한 택배 물류센터에서 작업자들이 산더미처럼 쌓인 택배 박스를 나르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0여일 사이 택배노동자 3명이 과로사로 추정되는 죽음을 맞으면서 택배노동자들의 건강권을 보호할 수 있는 근본 대책 마련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른 물량 증가, 새벽 배송 활성화, 과당경쟁에 따른 배송 단가 하락 등 이들의 노동 조건은 날로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당일 배송을 폐지하거나 축소할 필요가 있다. 택배회사가 대리점과 계약할 때 당일배송률로 평가하면서 택배노동자들도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밤늦게까지 배송하거나 주말 배송에 나설 수밖에 없다. ‘주 5일 도입’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택배노조는 주말 주문을 물량이 적은 월요일에 배송하면 주 5일 근무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소비자들의 요구 때문에 주말 배송을 폐지할 수 없다면 택배노동자들 몫의 수수료 인상, 택배노동자 추가 고용을 통해 비용을 분담해야 한다. 택배 노동이 주요 업무인 우체국 집배원들의 과로사가 잇따르자 우정사업본부는 지난해 750여명을 충원하면서 이들의 ‘주 5일 근무’가 가능해졌다.

정부는 19일 주요 택배사들을 대상으로 안전 조치가 제대로 돼 있는지 긴급 점검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반짝 점검’에 그쳐서는 안 된다. 택배노동자들의 건강 악화는 결국 사회적 부담으로 돌아오는 만큼 정부와 택배 업계는 주 5일제 도입, 당일 배송 폐지, 분류 작업 추가 인원 확보 등 택배노동자들의 건강권을 보호할 수 있는 근본 대책 마련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