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산수음료, 생분해성 플라스틱(PLA)을 원료 형태로 가공한 ‘재생플라스틱’ 국내최초 수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PLA 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 세계 첫 사례.. 고객이 모은 공병 활용 PLA 소재로 수출까지..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36년 전통의 먹는샘물 전문기업 산수음료(대표 김지훈)가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소재의 생수 공병을 화학적 재활용 처리를 거친 원료형태로 가공한 재생플라스틱을 국내 최초로 수출한다.

산수음료의 금번 PLA 수출은 현재까지 실험, 연구 단계에 머물렀던 PLA의 화학적 재활용이 상용화되는 세계 최초의 사례인 동시에 PLA를 해외로 수출하는 국내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이번 수출은 지난해 9월, 산수음료가 PLA 분야 세계 2위의 글로벌 기업 ‘토탈 코르비온’(Total Corbion PLA)사와 맺은 업무협약을 통해 PLA의 화학적 재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교류 끝에 성사됐다.

수출되는 PLA 원료는 올해 7월 세계 최초로 PLA 병으로 제작된 산수음료의 아임에코 ‘고마운샘’ 생수 공병으로 만들어졌다. 산수음료의 정기배송 고객들이 생수를 음용 한 뒤 모아준 PLA 빈병을 깨끗한 상태로 회수, 확인한 결과 런칭 한 달만에 현재까지 1톤이 넘는 빈 생수병이 모인 상태다.

산수 측은 “이번 수출은 국내 재활용 플라스틱 쓰레기 대란을 해소하고자 빈 생수병을 자발적으로 회수 및 재활용하는 산수의 활동에 고객들이 동참해준 결과”라며 “‘모인 PLA 공병은 자체적으로 분쇄한 뒤, 협력업체를 통해 컴파운드 작업 후 원재료를 펠렛화하여 해외로 전량 수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현재 정기배송 고객 중 에코회수 지역 내 회수율은 30%에 육박하며, B2B 거래처도 에코회수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만큼, 회수한 빈 생수병의 업사이클링을 위해 파트너십 체결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석유가 생산되지 않아 모든 플라스틱 원재료를 수입하는 상황에서 이번 산수의 행보는 향후 플라스틱 생산과 폐플라스틱 쓰레기 대란을 해소할 수 있는 첫 발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산수음료 김지훈 대표는 “2년 전부터 친환경 용기 제조, 플라스틱 재활용 및 자원의 선순환구조 구축을 준비해왔다”며 “이번 수출은 당사 그린패키징 사업부의 연구개발 성과와 기술을 선보일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산수음료는 앞으로 친환경 제품 생산 기업으로서의 입지와 인지도를 강화하는 한편, 해외 수출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알리는 데도 힘쓸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산수음료는 친환경 대표기업으로써 친환경 플라스틱, 포장재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 최초로 PET 경량화를 통해 저탄소 인증 생수 에브리데이 ‘산수’ 출시를 시작으로 식물 유래 친환경 플라스틱을 사용해 탄소 배출량을 40% 이상 줄인 아임에코 ‘산수’를 선보였으며, 국내 최초 100% 식물유래 용기로 미세플라스틱 걱정 없이 완전 분해되는 PLA 소재의 아임에코 ‘고마운샘’을 개발 및 출시했다. 이 외에도 일체형 병마개 특허 출원 저탄소 식품포장재 출시 등 제품 안정성 강화와 함께 친환경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real@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