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납부 위해 삼성생명 등 지분 일부 처분 가능성
깃발 펄럭이는 삼성 서초사옥 |
(서울=연합뉴스) 김태종 기자 =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25일 별세하면서 삼성의 지배구조 체제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현재 삼성의 지배구조는 크게 이재용 부회장→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인데 이건희 회장이 이들 주요 계열사의 지분을 상당수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삼성생명 지분 20.76%를 보유한 1대 주주로, 삼성물산이 보유한 삼성생명 지분(19.34%)보다도 많다.
여기에 삼성전자 주식도 4.18% 갖고 있다. 이재용 부회장은 0.70%에 불과하다. 또 삼성물산 지분도 2.88%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삼성이 2015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을 통해 이재용 체제로 전환한만큼 이 회장 별세가 지배구조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도 "삼성은 정의선 회장의 현대차그룹과도 성격이 다르다"며 "현대차그룹은 이제 지배구조 개편의 시작단계이고 그래서 정 회장이 지분을 많이 보유한 현대글로비스가 시장에서 관심을 받고 있지만, 삼성은 이미 에버랜드 등을 통해 경영권 승계가 절반 이상은 이뤄졌다"고 말했다.
베트남서 귀국하는 이재용 |
당장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서두르지도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이에 삼성전자와 삼성물산의 이 회장 지분을 상속받아 그대로 유지하면서 현 제체를 유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회장이 보유한 지분 가치가 20조원에 육박해 상속세가 10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모든 일부 지분에 대한 처분은 불가피할 수 있다.
김동양 연구원은 "삼성전자와 삼성물산 지분은 이 부회장으로서는 중요하기 때문에 상속을 받고 삼성생명 지분은 일정 부분 처분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 회장 별세와는 별도로 여당이 추진하는 보험업법 개정이 지배구조 개편을 촉진할 수는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가운데 총자산의 3%를 남겨두고 나머지 지분을 매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taejong75@yna.co.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