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이건희 삼성 회장 별세

거침없는 추진력·시대 앞선 경영 감각… 글로벌 삼성 이끌어 [이건희 회장 별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78년 삶에 담긴 경영철학

유년시절 ‘무한탐구’… 사업 디딤돌 돼

1987년 회장 취임 후 경영 체질개선

설탕·밀가루·방직 대신 반도체 주력

애니콜 15만대 화형식 후 ‘갤럭시’ 신화

영화·레슬링 즐겨… 스포츠 외교 앞장

TV 등 제품 20개 세계 1위에 올려놔

세계일보

1993년 미국의 격주간 종합경제지 포춘과 인터뷰하는 이건희 회장. 삼성 제공


‘20개의 세계 1등 제품을 만든 기업가’, ‘기술보다 사람을 중시했던 인재양성가’, ‘영화감독을 꿈꾸고 레슬링을 즐기던 승부사’….

글로벌 기업 삼성의 오늘에 지대적인 영향을 끼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에게 붙는 수식어는 셀 수 없이 많다. 27년 동안 삼성그룹을 이끈 그의 리더십을 온전히 표현할 방법은 없다. 이 회장은 ‘은둔의 기업가’로 알려졌지만, 경영 일선에서는 남다른 경영감각으로 존재감을 과시했다. 거침없는 언사와 추진력으로 거대 기업을 이끌었던 이 회장은 무엇보다 사람을 중시했다. ‘디자인경영’을 비롯해 ‘열린채용’, ‘품질경영’ 등 남다른 경영철학에서 엿보이는 그의 리더십은 삼성의 오늘은 물론 미래의 동력으로 남아 있다.

◆유년시절 ‘무한탐구’, 훗날 삼성 경영 토대

이 회장은 1942년 1월9일 대구에서 삼성의 창업주 호암 이병철 회장의 3남5녀 중 일곱번째이자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이 회장은 1947년 부친과 함께 서울로 상경했다. 이후 ‘선진국을 경험해 보라’는 부친의 뜻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때인 1953년 일본 도쿄로 유학을 떠났다.

이 회장은 초등학교 때부터 과학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남다른 것으로 전해진다. 평생 즐겨 쓴 휘호가 ‘무한탐구’(無限探究)였을 정도다. 대학 시절에는 자동차에 심취해 자동차 구조에 관한 한 전문가가 됐다. 유학을 하는 동안 이 회장이 탄 자동차만 6대였다. 언젠가는 미국에서 4200달러에 구입한 자동차를 한참 타다가 600달러를 더 받고 판 것으로 전해진다.

세계일보

고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왼쪽)와 유년시절 이건희 회장. 삼성 제공


세계일보

이 회장은 차가운 기업가의 이미지가 강하지만 대중문화와 스포츠에도 관심이 깊었다. 일본 유학 시절엔 영화에 심취해 1200편 이상을 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등학교 때는 레슬링부에 들어갔고, 2학년 때 전국대회에서 입상한 적도 있다. 럭비도 즐겼다.

이 회장은 에세이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1997)에서 “럭비는 한번 시작하면 눈비가 와도 중지하지 않는다. 걷기도 힘든 진흙탕에서 온몸으로 부딪치고 뛴다”고 회상했다. 이 회장이 스포츠에 가진 열정은 훗날 대한레슬링협회장을 역임하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을 맡는 등의 활동으로 이어졌다.

◆‘반도체’·‘모바일’·‘가전’ 삼각편대

재계에서는 이 회장을 삼성그룹 ‘제2의 창업주’라고 부른다. 이 회장이 삼성그룹의 총수를 맡은 뒤로 사업과 경영 전반이 체질개선을 통해 혁신기업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그가 일본과 미국 등지에서 쌓은 경험들은 훗날 삼성전자의 ‘반도체’·‘모바일’·‘가전’의 삼각편대 사업 포트폴리오로 이어졌다.

부친인 이병철 회장이 일군 삼성은 ‘삼백’(三白)으로 불리는 설탕과 밀가루, 면방직이 주축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 자동차와 조선과 같은 중후장대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삼성은 현대에 이어 재계 2위에 머물렀다.

세계일보

이 시기에 이 회장은 “천연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하이테크 산업밖에 없다”는 구상으로 반도체 산업 진출을 결심했다. 당초 삼성의 반도체 진출은 기대보다 우려가 높았다.

그러나 이 회장은 “기술 식민지에서 벗어나는 일, 삼성이 나서야 한다”며 의지를 다졌다. 삼성은 1982년 ‘64K D램’을 출시하며 반도체 시장에 본격 진출했고, 1993년에는 세계 최초로 ‘64M D램’을 개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세계일보

CES 2010 참관하는 이건희 회장. 삼성 제공


1990년대 진출한 휴대전화 산업도 오늘날 ‘삼성폰’의 근간을 다졌다. 당시 휴대전화는 핀란드 노키아와 미국 모토롤라가 시장 주도권을 쥐고 경쟁했다. 사실상 후발주자가 뛰어들기 힘든 구도에서 이 회장은 “반드시 1명당 1대의 무선 단말기를 가지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투자를 지속했다. 1995년 3월 구미 사업장에서는 임직원 20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무선전화 15만대를 불태운 ‘애니콜 화형식’ 충격요법을 동원했다. 이후 이른바 ‘이건희폰’으로 불리는 제품들이 흥행에 성공했다. 애니콜을 기반으로 삼성은 훗날 스마트폰 시장에서 세계 1위 ‘갤럭시’를 만들었다.

‘삼성TV’ 역시 이 회장의 안목에서 비롯됐다. 과거 동양방송(TBC)에 근무했던 이 회장은 TV와 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이 회장은 당시 브라운관이던 TV가 평면TV의 형태로 전환될 것을 예측하고 액정표시장치(LCD) 전환에 투자를 단행했다. 당시까지만 해도 투박한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던 TV디자인의 혁신을 위해 디자인팀을 이탈리아 등지로 파견해 ‘보르도TV’를 제작했다. 그 결과 세계 TV시장에서 삼성이 1위에 올랐고, 13년째 세계 시장 1위를 지키고 있다.

세계일보

◆비자금 수사로 퇴진, 복귀했지만 상속분쟁

그가 이끈 27년간 삼성은 성장가도를 달렸지만 위기의 순간도 적지 않았다. 이 회장은 에세이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에서 “1987년 회장에 취임하고 나니 막막하기만 했다. 삼성 내부는 긴장감이 없고 내가 제일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고 회상했다.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자”는 이른바 ‘프랑크푸르트 신경영 선언’은 이런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세계일보

“새로운 신화 창조”… 반도체 30주년 기념서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014년 반도체 30주년을 맞아 기념서명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 회장의 경영 방식이 난관에 부딪힌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산업이다. 이 회장은 1995년 숙원이던 자동차산업에 진출했지만 외환위기를 겪으며 실패했다. 삼성이 고수해 온 무노조 경영 원칙 또한 여론의 질타 대상이 됐다. “정치는 4류, 행정은 3류, 기업은 2류”라며 정계와 거리를 둔 이 회장이지만 정경유착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