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와 프로그램 개발
음성 특징 분석 치매 여부 판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진이 치매 선별 프로그램을 활용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
인공지능(AI)과 10분만 대화해도 치매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SK텔레콤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AI를 활용한 음성 기반 치매 선별 프로그램을 개발, 상용 환경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은 AI가 사람의 음성을 듣고 치매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다.
성대에서 만들어진 사람의 음성은 성도를 거치면서 증폭되거나 감쇠된다. 치매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음성의 특징을 AI가 분석해 치매 여부를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보건소나 병원 방문 없이 비대면으로 치매를 선별할 수 있어 진단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SK텔레콤 측은 설명했다.
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개발돼 의료진과 환자, 가족의 부담 없이 주기적,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AI를 활용한 사회적 문제 해결’이라는 공동 목표로 본 연구를 시작했다.
SK텔레콤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 소속 전문의 및 임상심리전문가와 함께 이달부터 종합병원 및 치매안심센터에서 프로그램을 검증한다. 이를 통해 치매 선별 정확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아울러 치매 환자의 언어적 특징과 얼굴 인식, 심박수 및 혈압 등 추가 정보를 활용한 AI 치매 선별 프로그램도 내년에 선보일 계획이다.
김윤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기술을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연구해 의학 프로그램을 상용 환경에서 검증하게 된 것은 AI 헬스케어 분야의 큰 진전”이라며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취약 계층 지원 등 사회에 기여하는 AI를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준영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치매를 앓고 있는 어르신들은 말씀이나 목소리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나 음성을 정량화하여 진단에 활용하는 것은 그동안 쉽지 않았다”며 “음성 기반 치매 진단법은 치매 조기 진단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세정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