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8 (월)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자원순환정책 본격화' 인천시…2025년 쓰레기 재활용율 95% 목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구·연수구, 생활폐기물 재활용 배출·수거 시범사업 추진

슬러지·소각재와 버려지던 폐기물 자원재활용 확대

아시아경제

박남춘 인천시장이 시청 앞 광장에서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골자로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을 위한 시민공동행동'을 발표하고 있다. 2020.10.15 [사진제공=인천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시가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자원순환정책을 본격 시행한다. 2025년 쓰레기 재활용률 95%까지 끌어 올리는 게 목표다.


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하고, 환경부가 2026년부터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을 금지할 방침에 발맞춰 이같이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우선 중구와 연수구를 '생활폐기물 재활용 배출·수거 체계 개선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해 단독주택과 상가를 중심으로 올바른 분리배출을 유도하고, 내년에는 인천 전역으로 확대 시행하기로 했다.


시범지역에서는 여러 종류의 쓰레기를 하나의 봉투에 혼합 배출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4개 종류의 품목별 재활용 전용 봉투를 보급하고, 거점 분리배출 시설을 확충한다.


재활용품 수거 과정에서 재활용품 간 혼합·오염을 막기 위해 원형을 보존하며 운반할 수 있는 비압착 차량도 18대 추가 보급하고 수거 횟수도 주 1회에서 3회로 늘린다.


시는 또 기존에 전량 매립하던 하수처리장 슬러지, 생활폐기물 소각재·비산재, 도로청소 비산재 등을 자원으로 재활용해 매립량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 상수도본부는 정수 슬러지를 시멘트 대체 원료로 재활용하는 사업에 착수했다. 4개 정수장 연간 정수 슬러지 약 2만 4000t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2025년 이후부터는 100% 재활용 처리할 방침이다.


소각재는 시멘트 원료, 공유수면 매립토 등으로 재활용하고 이를 통해 생산된 제품은 시, 군·구, 공사·공단에서 시행하는 공사자재로 의무사용토록 조례 제정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 밖에 냉장고·세탁기·TV 등 폐가전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와 폐건전지·커피찌꺼기 수거 사업도 강화할 계획이다.


시는 2014년부터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등과 공동으로 폐가전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를 하고 있다. 점차 늘어나는 수거물량으로 올해 3월엔 송도 남부권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 내 폐가전 공공집하장을 추가로 설치했다.


올해 10월까지 폐가전 11만 6000대를 수거하는 등 시민의 호응을 얻고 있다.


매립되거나 소각돼 토양과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는 폐건전지는 종류에 상관없이 20개를 읍·면·동 주민센터에 갖고 가면 새 건전지 2개로 교환해준다.


재활용 가치가 높은 유기성 자원인 커피 찌꺼기는 민관 협업을 통해 수거·운반, 제품생산 등 재자원화하는 자원순환모델을 구축했으며, 내년부터는 모든 군·구가 참여토록 할 계획이다.


커피 찌꺼기는 생활폐기물로 분류돼 종량제 봉투에 버려져 소각 또는 매립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지역 내 커피전문점은 5188곳(올해 8월 기준)으로 연간 5604t의 커피 찌꺼기가 발생하고 있다.


인천시는 매년 늘어나는 쓰레기 직매립량을 줄여 친환경 자원순환 정책을 실현하려면 쓰레기 재활용률을 반드시 높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인천시 생활폐기물 직매립량은 2015년 5만 7000t에서 2018년 10만 6000t으로 배 가까이 늘었지만, 쓰레기 재활용률은 59.8%(2018년 기준)에 머물러 있다.


시는 시민동참에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의 성패가 달린 만큼, 지난 달 13일 인천시민시장 대토론회에서 '자원순환도시 인천범시민행동' 출범식을 갖고, 43개 시민단체와 친환경 자원순환정책 추진 및 범시민 운동을 펼칠 것을 선포했다.


이어 15일 시민의 날에는 박남춘 시장이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내용으로 '인천시, 쓰레기 독립'을 선언하고 시민공동행동 발표문을 낭독하며 인천시의 강력한 의지를 천명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함께 2026년부터 수도권에서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중단되는 만큼, 수도권은 물론 전국 모든 지역이 친환경 자원순환정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시민의 날 발표한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의 내용을 올해부터 차근차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