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광주시립극단 갑질 사태…3개월 지났어도 조치는 ‘지지부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지난달 15일 서울 국회의사당 앞에서 광주 시립극단 갑질 피해자가 시위를 통해 진상조사 및 예술노동자의 권리보장을 촉구하고 있다./이가백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동인권 총괄 광주시 노동협력관 “내용 전혀 모른다”

[더팩트ㅣ광주=성슬기 기자] 지난 8월, 광주시립극단 갑질사태가 발생한 지 상당한 시일이 지났음에도 제대로 된 후속 조치는커녕 노동의 문제를 총괄하는 광주시 노동협력관은 사건에 대한 내용 파악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비난을 사고 있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위 시는 문제가 접수된 지 3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가해자에 대한 징계도, 사과문 발표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 6일 광주시의회 제3차 산업건설위원회 행정감사에서 김점기 광주시의원(남구2, 산업건설위원회)이 이보근 광주광역시청 노동협력관에게 시립극단 문제에 대해 질의했지만 전혀 사건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노동협력관은 이날 질의에 "내용 자체를 전혀 모르고 있기 때문에 질의가 끝나고 자체적으로 파악해보고 함께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면 체크를 하겠다"고 답했다.

시립극단 갑질사태가 발생한 시기, 서울 영등포문화재단에서도 외부단체와 공동기획한 공연을 위해 무대 작업을 하던 중 외부단체 스태프에 대한 재단 소속 무대감독의 성희롱 발언으로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접수한 사례가 있었다.

이에 재단 측은 사실확인조사를 통해 규정에 따른 가해자의 징계 조치와 대표이사‧해당 무대감독의 사과문을 지난 2일 홈페이지에 게시한 바 있다.

광주문화예술회관 측은 9일 "우리도 광주시 산하기관이라 무엇이든 간에 협의와 절차를 거쳐 진행해야 하는 입장이다. 시일이 걸리는 부분을 양해해달라"며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는 최선을 다하고 있는 중이다. 내용 인지 후 먼저 옴부즈맨 측에 의뢰를 하기도 했고 이미 많은 부분에서 대책을 세워 실행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결정문이 오기 전 이미 단원들에게 성인지교육, 인권교육 등을 완료한 상태고 객원출연진 및 외부스탭에게 연습 개시 전 교육 실시와 계약서 작성, 단체보험 가입 등을 시행 중이다"며 "또 ‘폴인사이트’ 전문기관에 시립예술단원을 대상으로 인권실태조사를 맡겨 11월 중에 설문통계 및 결과 분석 내용이 나올 예정이다. 현재 이번 사태에 해당되는 단원에 대한 징계와 사과문 게시 여부 등을 검토 중이며 이에 대한 조치 내용을 옴부즈맨 측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광주시립극단 부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이번 사태 발생 이후 광주‧서울 릴레이 시위 등을 통해 예술 노동자들의 권리 보장을 촉구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제대로 된 조치가 취해진 부분이 없다"고 말했다.

또 "옴부즈맨 측으로부터 이 사태에 대한 결정문을 받긴 했지만 아쉬운 부분들이 많다"며 "노동자성에 대한 부분도 그렇지만 피해 당사자가 성적 굴욕감을 느꼈다고 진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정사실에 대한 발언은 성적 굴욕감을 주는 성적 언동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부분이 특히 그렇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덧붙여 "회관 측에서 실시했다는 교육들은 모두 공기관이면 당연히 행해져야 하는 교육들이다. 제일 중요한 가해자 징계에 대한 내용은 아직도 시행되지 않았다. 문화예술회관장이 직접 대책위에 ‘옴부즈맨 결정문만 나오면 문제들을 빠르게, 엄중하게 처벌할 것’이라고 수차례 말했음에도 이렇게 시간이 걸리는 이유가 이해되지 않는다"며 "가해자에 대한 징계가 이뤄진다면 절차는 투명하게, 대책위 관계자 중 한 사람만이라도 참관할 수 있었으면 하는 입장이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문화예술회관 측도 옴부즈맨으로부터 결정문을 전달받고 14일째를 맞고 있지만 결정문 내용의 공개 여부조차 아직 결론을 못 내린 상태다.

더팩트

지난달 15일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광주 시립극단 갑질 피해자가 릴레이 시위를 펼치며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고 있다./이가백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forthetrue@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