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8 (월)

이슈 일회용품 사용과 퇴출

[진짜인가요] "코로나19 이후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 최악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렇게까지 오래갈 줄은 누가 예상이나 했을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얘기다. 한국은 물론 전세계가 코로나19에 끙끙 앓고 있다.

사람 뿐만이 아니다. 환경은 사람보다 더 빨리, 그리고 더 많이 아프다. 코로나19 장기화에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관련 업계에서는 우려가 아닌 경고의 목소리도 키우고 있다.

잘 모아서 재활용하면 되지 않느냐? 당연히 제대로 활용할수 있는 상태로 잘 모아지지도 않는데다가 수거에도, 재활용에도 한계가 있다는 부분이 가장 큰 문제다. 폐기물 수거 재활용 프로세스를 구축한 소셜벤처 수퍼빈의 김정빈 대표 역시 지금 한국의 상황을 "굉장히 위험한 수준"이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매일경제

자판기 형태의 자원순환로봇인 `네프론`의 학생들 대상 수퍼큐브(이동형 네프론) [사진 = 수퍼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1인가구와 배달·포장음식 수요 증가에 올해는 코로나19 여파까지 덮쳤다.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현황은 어떻게 보고 있는가.

▲그야말로 '최악'이다. 플라스틱 사용량이 급증하는 현상을 멈춰줄 요인(Stopper)가 안보인다.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아마도 우리나라 폐기물 처리 프로세스와 재활용 산업이 감당해내지 못해 결국 사고가 날 것이다.

Q. 최근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회적 요인이 어떤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는가.

▲단연 '편리함을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이기심'이다. 배달음식 문화의 확산, 일회용품이 다회용기보다 깨끗할 것이라는 편견에 분리배출하면 다 재활용된다는 잘못된 믿음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

또한 플라스틱 산업은 이미 '규모의 경제'가 달성된터라 다른 소재보다 상대적으로 원가 경쟁력이 있어 더 많은 플라스틱 공급이 가능해졌다는 것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원가 경쟁력에는 석유 등 원자재 가격인하로 인한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Q. 얼마 전 '가정에서 분리수거한 재활용품이 전혀 재활용되지 못한다'는 소식이 SNS를 통해 퍼졌다. 실제로는 어떠한가.

▲'전혀'까지는 아니고 일부는 재활용된다. 하지만 모든 분리수거 제품이 다 재활용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고 보는 건 맞다.

무엇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운사이클링(재활용품의 부가가치가 낮아지는 재활용 프로세스)에 의한 재활용은 자꾸 시장이 작아지고, 업사이클링(재활용품의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프로세스)이 각광받고 있는데, 우리나라 분리수거는 업사이클링 대응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자꾸 재활용이 안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재활용품과 폐기물 각각이 유통과정에서 재활용시장 상황과 소각 또는 매립 시장의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한다.

Q. 한국 시민들의 재활용 의식을 점수로 매긴다면 몇 점 정도로 보는가.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시민들의 재활용 인식이 낮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물론 보통 국가별로 소득 수준이 높으면 재활용 등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고, 소득이 낮으면 상대적으로 인식이 높지 않다는 의견은 있긴 하다.

한국은 많은 시민들이 재활용을 '잘'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재활용을 잘하는 방법을 정확하게 알고 있지 못하는 부분이 문제다.

쉽게 말해 '모든 생활쓰레기를 최대한 정성껏 분리배출하면 재활용이 된다'는 믿음이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 재활용은 분리수거(정확히는 분리배출)된 재활용품을 어떤 수요 주체가 돈을 주고 구입하는 단계를 거쳐야만 재활용이 된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

매일경제

수퍼빈 신상 모듈러 [자료 = 수퍼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수퍼빈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자판기 형태의 자원순환로봇인 '네프론'을 운영하는 소셜벤처다. 재활용 가능한 캔이나 페트병을 수거하고 이를 수거당사자에게 현금성 포인트로 되돌려주는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는데 실제 얼마나 지급했는지 궁금하다.

▲2020년 현재 전국에 약 160대의 네프론이 설치되어 운영 중이며 네프론 설치 수가 늘면서 순환자원 회수 물류기반도 확장되고 있다. 네프론은 현재 약 10만명 정도 이용하며 매월 약 1000만원의 현금을 사용자들에게 보상하고 있다.

약 3개월 전에 2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네프론으로 수집한 순환자원을 직접 고급 재활용 플레이크(r-flake)로 생산하는 설비 공장도 준비 중이다.

Q. 자원순환이 구현된 사례를 들어준다면 일반인들의 이해도가 높을 것 같다. 수퍼빈이 수거한 폐플라스틱 등은 어떤 순환의 길을 걷고 있는가.

▲수퍼빈은 화학업계의 폐플라스틱 기준을 디지털 정보로 전환해 이를 인공지능(네프론)에 학습시킨다. 이 기준을 충족한 생활폐기물을 선별하면, 오염이 최소화 상태로 분류해 가공공장으로 보낸다. 가공공장에서는 이렇게 모인 순환자원을 산업에 제공할 소재(r-flake)로 가공하고, 이를 화학회사들이 구매해 다시 가공(펠릿으로 만들어)해 섬유, 필름, 또는 플라스틱 포장재 등으로 생산하게 된다.

Q. 마지막으로 수퍼빈은 '스마트시티 사업'에도 연관이 있다고 들었다. 어떤 형태로 참여하는지.

▲수자원공사와 삼성물산이 시공을 맡아 2021년말 입주하는 부산EDC 내 스마트빌리지에 적용하는 스마트쓰레기통 사업을 주관하게 됐다. 이번에 입주하는 50세대를 대상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생활폐기물을 수집하는 역할과 동시에 재활용이 불가능한 생활폐기물, 음식물쓰레기까지 전체를 총할하는 사업이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서 주거지역에서 나오는 재활용품과 그렇지 않는 쓰레기를 디지털 장비와 ICT 기술의 어디까지 적용할 수 있을지 도전해보려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 재활용이 되는 생활폐기물과 그렇지 않은 생활폐기물을 다시 정의하고, 이를 각각 수집 및 이송하는 프로세스 전반을 설계하는 실험에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미연 기자 enero2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