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을 잇다, 진료정보 교류 ③정보 연계 연착륙하려면
신욱수 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장은 ’진료정보교류 사업을 활성화해 진료의 연속성과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인성욱 객원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의료의 패러다임이 질병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환자를 존중하고 개인의 필요와 선호, 가치에 상응하는 진료를 제공하는지가 서비스의 수준을 결정한다. 언제, 어디서든 내 진료 이력을 기반으로 정확하고 안전한 치료를 받는 것 역시 환자 중심 의료의 핵심 개념이다. 최근 정부가 선보인 ‘진료정보교류 사업’이 추구하는 방향과도 같다. 중앙일보 건강한 가족은 진료정보교류 사업에 대해 3회에 걸쳐 살핀다. 마지막으로 신욱수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의료정보정책과장을 만나 성공적인 사업 안착 방안을 들었다.
Q : 진료정보교류 사업이란 뭔가
A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국민(환자)을 대상으로 본인의 진단, 처방, 영상 촬영 기록 등 진료 정보를 원하는 의료기관에 전자적으로 교류해 주는 서비스다. 의료기관 간 진료의뢰서, 진료회송서, 진료기록 요약지, 영상의학판독 소견서를 전자 교류한다. 그러면 의료진이 환자의 약물 처방 이력이나 검사·수술 내역, 컴퓨터단층촬영(CT)·자기공명영상촬영(MRI) 등 영상 정보를 참조할 수 있어 진료의 연속성이 보장되고 환자 안전을 지키는 데 도움된다.”
Q : 정보교류는 어떻게 이뤄지나.
A : “각 의료기관은 전자의무기록(EMR)을 사용하는데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용어나 전송 기술, 서식 등을 표준화한 교류 시스템을 제공했다. 이를 기반으로 정리된 진료 정보는 15개 권역에 있는 문서저장소에 저장돼 필요시 교류가 이뤄진다. 진료정보교류 서비스는 흩어져 있던 진료기록을 소중한 정보로 변화시켜 병원·의사가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하도록 지원한다.”
Q : 이번 사업의 기대 효과는 뭔가.
A : “환자 입장에선 불편함을 덜 수 있다. 기존에는 환자가 병원을 옮길 때마다 이전에 진료받았던 병원에서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했다. 재검사나 진료를 받아야 했던 불편함도 컸다. 그러나 의료기관 간 진료 정보가 교류되면 이런 불편이 해소된다. 의료기관 입장에선 의사가 환자의 현재 상태뿐 아니라 과거 병력까지 고려해 정확한 진단과 진료를 할 수 있어 의료의 질이 향상된다. 국가 입장에선 국민의 불편이 줄고 의료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데다 중복 처방·촬영이 줄어 의료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Q : 사업 참여 현황은 어떤가.
A : “현재 6400여 개 의료기관이 진료정보교류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전체 의료기관의 18% 정도다. 국민 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10월 말 기준 약 13만 명이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통해 진료 의뢰·회송 서비스를 이용했다. 사업의 핵심 역할을 하는 상급종합병원(대형 대학병원)의 88%가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거점 문서저장소와 같은 기반 인프라도 거의 완비한 상태다. 최근엔 사업 미참여 의료기관도 쉽게 교류에 동참할 수 있도록 4만1000여 의원·병원을 대상으로 EMR 진료정보교류 모듈을 기본 기능으로 배포했다. 일선 의료기관의 참여가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Q : 추진 중인 사업 확산 방안은 없나.
A :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교류의 목적이 단순히 의뢰·회송에만 있지 않다. 공공의료 분야로 교류 영역을 확대하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존의 응급의료 시스템과 연계해 응급 환자의 진료기록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산업재해 환자의 진료기록을 산재지정병원과 교류할 수 있도록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응급·산재 등 환자 중심 진료정보교류 서비스의 콘텐트를 다양화해 사업을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Q : 정보 보호 대책도 필요할 것 같은데.
A : “진료정보교류 사업은 민감한 의료 정보를 다루기 때문에 보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주민등록번호와 진료내역을 이원화했다. 주민등록번호는 암호화해 보관하고 있으며 진료내역은 24시간 관제 시스템 아래 보호 중이다. 진료 정보 데이터 전송 역시 구간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하고 있다.”
Q : 사업 정착을 위해 남은 과제가 있다면.
A : “좀 더 많은 의료기관의 참여가 필요하다. 올해 진료정보교류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 진료 의뢰 가산 수가를 신설해 제공하고 있다. 금액이 크진 않지만, 이를 기반으로 의료기관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을 지속해서 연구해 나갈 예정이다. 무엇보다 의료진이 사용하는 데 불편하거나 혼란스럽지 않도록 편리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힘쓰겠다. 국민이 사업의 본질을 이해하고 진료정보교류 서비스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 역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Q : 사업의 궁극적인 목표와 향후 계획은.
A : “진료정보교류는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하고 환자의 진료 연속성을 확보하며 의료비 감소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다. 모든 의료기관이 진료정보교류 사업에 동참해 실질적인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약물 처방 오류 등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는 게 목표다. 우리나라 보건의료 체계에서 진료정보교류 사업이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실현하는 데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활성화하는 데 집중하겠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