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오차범위 대혼전…이낙연·윤석열·이재명 차기대선 삼국지 '치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낙연 20.6%·윤석열 19.8%·이재명 19.4%…오차범위 내 초박빙

직무정지 등 이슈의 중심 윤석열, 20%대 근접 첫 2위 '기염'

7개월 연속 내리막 이낙연…윤석열에 2위 내준 이재명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윤석열 검찰총장, 이재명 경기지사가 오차범위 내 치열한 선두 다툼을 벌이고 있다. 이제껏 ‘양강 구도’를 형성해 온 이낙연·이재명 두 주자가 부진한 사이 윤 총장이 둘 사이를 치고 올라간 것이다.

이데일리

(사진=리얼미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30일 오마이뉴스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23~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2538명(응답률 4.5%, 5만 6698명 접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대표가 20.6%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윤 총장이 19.8%, 이 지사가 19.4%를 기록하며 2·3위에 이름을 올렸다. 1위와 3위 간 격차가 오차범위(95% 신뢰수준·±1.9%포인트) 내인 1.2%포인트에 불과하며, 통계적으로 누가 누구를 앞선다고 하기 힘든 대혼전 양상이다.

여권 대선 주자인 이 대표와 이 지사의 지지율이 나란히 떨어진 반면, 야권 인사인 윤 총장이 선전하면서 이 지사와의 순위가 뒤바뀐 게 눈에 띈다. 앞서 10월 조사에서는 이 대표와 이 지사는 각각 21.5%, 윤 총장은 17.2%로 오차범위 밖 격차를 보였다. 그러나 한달 사이 윤 총장의 지지율이 오르면서, 굳건할 것 같던 이낙연·이재명 양강 체제가 깨졌다.

10월 조사 대비 0.9%포인트 하락한 이 대표는 올해 4월 조사에서 40.2%까지 찍은 이후 7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천·경기와 부산·울산·경남에서 지지율이 각각 3.3%포인트·1.3%포인트 올랐으나 서울에서 8.3%포인트가 곤두박질한 17.9%에 그쳤다. 이른바 진보 진영의 텃밭인 광주·전라에서는 10월 (45.8%) 대비 2.5%포인트 내려간 43.3%였다.

윤 총장에 2위 자리를 내준 이 지사는 10월 대비 2.1%포인트 하락, 지난 8월 최고치(23.3%)를 경신한 이후 상승세가 꺾이면서 3개월 만에 10%대로 주저앉았다. 진보층에서 2.1%포인트가 빠지는 등(33.0%→30.9%) 권역·이념 성향별로 모두 내림세였다.

반면 야권의 유력 대선 주자인 윤 총장은 20%대에 근접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갱신, 처음으로 2위를 차지했다. 윤 총장의 지지율 상승은 중도·보수층에서 돋보였다. 보수층과 중도층에서 각각 10월 대비 3.5%포인트·2.9%포인트 올랐다. 특히 보수 텃밭인 대구·경북 지역에서 9.6%포인트 급등한 27.3% 지지율이 나왔다.

윤 총장의 높은 지지율은, 지난 24일 발표된 직무정지 및 징계위 회부 등으로 이슈의 중심에 서면서 관심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서울행정법원은 윤 총장의 직무정지 처분에 대한 효력 집행정지 재판 심문을 마쳤다. 오는 2일에는 윤 총장을 대상으로 한 법무부 징계위가 예정돼있다.

이외에도 홍준표 무소속 의원은 0.4%포인트 오른 5.1%로 한 계단 상승한 4위로 올라섰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3.5%로 전월 대비 1.4%포인트 하락해 5위를 차지했으며, 유승민 전 의원은 1.1%포인트 상승한 3.3%로 6위를 차지했다. 윤 총장과 갈등 양상에 있는 추 장관은 3.1%를 차지했고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3.0%(0.6%↓), 원희룡 제주지사는 2.0%(1.0%↓), 김경수 경남지사는 1.8%(0.4%↓)를 기록했다.

아울러 범진보·여권 주자군(이낙연·이재명·추미애·심상정·김경수·김부겸)의 선호도 합계는 2.5%포인트 내린 48.1%, 범보수·야권 주자군(윤석열·홍준표·안철수·유승민·오세훈·주호영·황교안·원희룡)은 1.3%포인트 오른 41.7%로 양 진영 간 격차는 10.2%포인트에서 6.4%포인트로 좁혀졌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