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상담 급한데 ‘통화 중’ 1393…인력 3배로 늘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 블루 적신호에 대책 발표

10년마다 받던 우울증 국가검진

‘10년 중 1회’ 원하는 때 받게 개선

고용센터서 실업자 심리상담도

내년부터 국가건강검진 우울증 검사 주기가 ‘10년마다 한 번’에서 ‘10년 중 한 번’으로 바뀐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상담 인력이 100명 이상으로 충원된다. 연예인만을 대상으로 한 극단선택 예방교육 프로그램도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장기화하면서 극단적 선택의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30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열고 ▶전 국민 ▶취약계층 ▶자살 고위험군을 나눠 관련 자살예방 대책을 내놨다.

이기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국민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드러났다”며 “한층 강화된 자살예방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자살사망자(추정치)는 9755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518명(-5.0%) 줄었다. 그러나 올해 1~7월 응급실에 온 자살시도자는 지난해보다 0.2%, 2018년보다 4.5%(추정) 각각 증가한 상황이다. 1393 상담전화 건수도 올해 8월 기준 1만7012건으로 지난해 8월(6468건)과 비교해 2.5배 넘게 급증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는 20·30·40·50·60·70세 해당 연령에서만 받을 수 있었던 국가검진 우울증 검사를 필요할 때에 10년 주기로 받을 수 있게 했다. 가령 예전에는 20세에 우울증 검사를 받지 않으면 30세까지 10년간 우울증 검사를 받을 수 없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2년마다 시행되는 검진 주기인 22·24·26·28세 때 검사가 가능해진다.

1차 의료기관에서 우울증 선별검사를 한 뒤 의사가 고위험군을 정신건강복지센터나 정신과로 연계할 경우 수가를 부여하는 시범사업도 내년부터 추진한다.

내년 중 1393 인력도 100명 이상으로 늘린다. 현재는 32명이 4조3교대로 24시간 돌아간다. 자살 관련 상담 3건 중 2건은 연결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것이다.

취약계층인 실업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상담도 지원한다. 전국 57개 고용센터에서 상담을 해주고 고위험군은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적극 연계하기로 했다. 연예인과 매니저 대상의 극단선택 예방교육 프로그램도 보급한다. 미성년 연습생 중심으로 진행하던 비공개 심리상담 횟수는 3회에서 10회로 늘리고 대상 연령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 밖에 ▶학생 자살예방 교육 확대(연간 4시간→6시간) ▶교사 생명지킴이 교육 의무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여성 대상 상담 강화 등의 대책을 추진한다.

그러나 기존 정책을 업그레이드한 대책들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동우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상담 등 1차 접촉 이후 중증도나 위험 요인에 따라 복지·의료 서비스의 연계가 필요한데 이런 의뢰 체계에 대한 설계가 없다”고 말했다.

보완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윤호 안전실천시민연합 안전정책본부장은 “국가검진 우울증 검사는 2년이나 3년 주기로 받게끔 아예 명문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화영 한국자살예방협회 사무총장(순천향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우울증 치료가 자살률 감소와 직결되는 만큼 실손의료보험 보상 범위에 정신과 질환으로 인한 치료를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