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지금 못 잡으면 어떤 결과 올지 몰라"… 광주시 코로나 처방전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1일 오전 광주 광산구 선운중학교에서 학생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시가 좀체 꺽이지 않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를 잡기 위해 강도 높은 처방전을 추가로 내놨다. 코로나 확산 진원지로 떠오른 생활체육 동호회와 집단 체육활동이 전면 금지되고, 모든 공직자에겐 사적 모임 참석을 못하게 하는 등 비상명령까지 담겼다.

시는 1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코로나 방역 수칙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시는 우선 사회적 거리 두기 1.5단계를 유지하면서 2일 0시부터는 최근 집단 감염의 진원지가 된 생활체육 동호회, 집단 체육 활동을 전면 금지키로 했다. 이는 지인과 가족 간의 접촉, 동호회 활동, 식당과 성당 등 다중이 모이는 공간을 통해 감염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고 있는 데다, 직장과 학교, 병원 등에서도 산발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방역조치를 강화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판단에서다. 시는 "지역 코로나19 상황이 지난 2월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최대 위기"라고 심각성을 전했다.

실제 지난 30일 하루 동안 광주에서 발생한 확진자는 22명으로, 지난 8월 26일 39명 이후 최대 발생 기록이다. 특히 지난달에 발생한 확진자 204명 중 100명이 최근 1주일(11월 24~30일) 사이에 나오는 등 확산세가 거침이 없다. 이들 확진자 중엔 기아자동차, 금호타이어, 삼성전자, 이마트 등 대기업 직원들이 대거 포함돼 지역 경제에도 비상이 걸렸다.

시는 또 지금으로선 지역감염 확산 차단이 시급하다고 보고 방역 수칙 준수에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공무원부터 솔선수범하기로 했다. 광주시 본청, 5개 구청, 산하 공공기관 등 직원 1만3,00여 명에게 '코로나19 비상명령'을 발동한 것이다. 여기엔 △동문회, 동호회, 회식 등 모든 사적 모임 참석 금지 △다수 참석 공적 회의나 모임 연기 또는 비대면 진행 △결혼식, 장례식, 3밀(밀집·밀폐·밀접) 장소 방문 금지 △직원 출장 자제와 20% 이상 재택근무 △과태료 부과 등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위한 실효적 대책 마련 등이 포함돼 있다.

시는 시민들에게도 5대 행동강령을 제안하며 동참을 호소했다. △일상생활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경제활동만 하기 △가족, 직장 외 외부인과의 만남, 모임 갖지 않기 △대화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 착용, 마스크를 벗고 식사할 때는 말없이 △연말은 외부 모임 없이 가족과 집에서 △몸에 이상이 있으면 즉시 선별진료소로 가기 등이다.

시는 3일 치러질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특별 방역 대책도 마련했다. 시는 5개 보건소 내 선별진료소의 운영 시간을 수능 하루 전날인 2일에는 4시간 연장할 예정이다. 운영 시간도 당초 오후 6시에서 오후 10시까지 연장했다. 수능일 당일엔 확진자와 자가 격리자를 위한 별도의 공간도 준비했다. 자가 격리 수험생은 인성고와 송원여고, 확진자는 빛고을전남대병원(8개 병상)에서 시험을 볼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시민 개개인이 생각과 행동을 바꿔 방역수칙을 철저하게 지켜 주는 것만이 코로나19 지역 감염 확산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며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안경호 기자 khan@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