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바라본 강남 재건축 아파트(앞쪽)와 뒤로 보이는 강북 아파트.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1일 '2021년 건설·주택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이 2%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치를 발표했다.
건정연은 수도권 주택가격은 1.5%, 서울 주택가격은 1%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전망치는 건정연이 올해 주택가격 상승률로 내놓은 수치(전국 6%, 수도권 8%, 서울 3%)와 비교하면 2∼6.5%포인트 낮은 수치다.
건정연은 "이미 올해 집값이 많이 오른 탓에 내년에는 주택 구매 수요가 줄고, 정부의 부동산 공급 계획 등으로 가격 상승력이 약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건정연은 3기 신도시와 광역급행철도(GTX) 사업 추진 과정에서 풀리는 보상금이 국토교통부 추정 32조원에 달해, 향후 2년간 이 자금 일부가 부동산 시장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건정연은 내년 전셋값이 집값보다 상승세가 클 것으로 봤다.
건정연은 내년 전셋값이 전국적으로 4%, 수도권은 5%, 서울은 3%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임대차 3법으로 전세 물량이 급감하고 서민 주거 안정이 흔들리는 상황이 내년 상반기까지는 계속될 것이라는 게 건정연의 예상이다.
정부가 향후 5년간 연평균 21만 가구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등 정책을 추진 중인 점은 고무적이지만, 당장 내년과 내후년 주택공급은 올해 수준보다 떨어지는데다 수도권 입주 물량이 부족해 전세난이 계속될 것이란 진단이다.
권주안 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3기 신도시 등 공급 확대와 사전청약 적용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실제 입주는 5년 이후에야 가능하기 때문에 전세시장 불안이 장기화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1989년 12월 전세 계약 기간이 1년에서 2년으로 늘어났을 당시 전세 상승률이 6개월 만에 17.4%로 뛰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상황이 양호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건정연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전세 계약 기간이 2년에서 최대 4년으로 늘어난 뒤 10월 서울 전세 상승률은 4.2%에 그쳤다.
권 연구위원은 "1989년과 같은 패턴이라면 9∼12개월 후 전셋값 상승세가 진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년 국내 건설 수주액은 올해보다 4% 감소하고, 건설투자는 공공사업 증가로 2.0%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신혜연 기자 shin.hyeyeo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