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김용민 "尹, 대한민국의 트럼프냐...물러나야 할 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여권 의원들, SNS 통해 '윤석열 자진사퇴' 압박
한국일보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모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추미애 법무장관이 윤석열 검찰총장의 징계를 청구한 후 여권 정치인들의 윤 총장을 향한 '자진사퇴'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1일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들의 공세가 이어졌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석열 총장의 '추미애식 징계는 위법하기 때문에 대통령 재가가 있어도 승복할 수 없다'는 입장을 담은 기사를 이미지로 공유한 후 "윤석열 총장이 대한민국의 트럼프가 되려고 하나 보다"라고 첨언했다.

이는 윤 총장이 추 장관의 징계 조치에 반발하고 있는 것을 미국 대선에서 패하고도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행동에 빗댄 것이다.

한국일보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페이스북 캡처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같은 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검찰권 남용, 정치적 중립성 위반한 윤석열 검찰총장은 물러나야 한다"면서 판사 동향 파악 명령과 조국 전 장관에 대한 수사를 문제 삼았다.

우 의원은 "윤 총장은 야당의 검찰총장이며 정권의 심판자처럼 행세하고 있음에도 자신의 징계청구를 '누명을 씌워 쫓아내는 것'이라고 항변하고 있다"고 했다.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이날 윤 총장이 "대권 욕심으로 검찰 조직을 휘두르고 있다"고 확언했다. 그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처음부터 최근의 논란까지 그(윤 총장)의 행보는 철저히 개인적 이익과 대권에 대한 정치적 야욕 때문이었던 것이고 이것 말고는 설명할 길이 없다"고 주장했다.

한국일보

김남국 의원 페이스북 캡처


윤석열 총장에 대한 법무부의 징계를 두고 벌어지는 양측의 다툼은 법원과 법무부 징계위원회, 두 곳에서 진행 중이다. 서울행정법원은 윤 총장 측의 직무집행정지 효력 집행정지 신청을 심사하고 있다. 법원이 윤 총장의 요청을 인용하면 일단 윤 총장은 직무에 복귀한 상태로 '직무집행정지 처분 취소'라는 본안 소송을 진행하게 될 수 있다.

법무부에서 개최해 실질적으로 징계 결정을 내리는 징계위원회는 대부분 법무장관이 임명한 위원으로 구성된다. 1일 법무부 감찰위원회는 윤 총장에 대한 감찰에 절차상 하자가 있고 징계가 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감찰위의 권고안은 구속성이 없어 징계위원회가 같은 결론을 내려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