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전북 인구 180만명대 무너지나, 전주 제외 모두 감소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11월 기준, 180만5204명

1년 만에 1만5595명 감소…대부분 시군 인구 줄어

최근엔 익산시, 전남 순천에 호남 3대 도시 내줘

전북CBS 최명국 기자

노컷뉴스

전라북도청사 전경.(사진=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전북 익산시가 호남 3대 도시 자리를 전남 순천시에 내준 데 이어 전라북도가 견고하게 지켜왔던 180만명대 인구도 지속적인 감소세로 180만명 아래로 떨어질 위기에 처했다.

올해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전라북도 인구는 180만5204명으로, 지난해 11월(182만799명)에 비해 1만5595명 감소했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 하반기나 내후년에는 180만명 아래로 인구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고질적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 시대로 접어든 전북은 산업 기반이 취약하고 젊은층의 수도권이나 대도시 이탈로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인구 감소지역이다.

실제 전주시를 제외하고 도내 모든 시·군이 지난해에 비해 인구가 줄었다.

최근에는 전남 순천시가 주민등록 인구 28만2618명(지난 11월 말 기준)으로 익산시(28만2582명)를 제치고 호남 3대 도시에 올랐다.

특히 전남 여수시(28만549명)가 익산을 바짝 뒤쫓고 있어 익산은 호남에서도 소도시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이와 관련해 전라북도는 저출산과 고령화 등 인구감소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라북도는 정부의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1~2025)'에 발맞춰 내년에 출산장려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는 저출산 및 인구 고령화에 대응한 정부의 중·장기 정책 목표와 방향 등이 담기며, 5년마다 작성된다.

송하진 전라북도지사도 최근 간부회의에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제시한 정책개선안을 참고해 출산장려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앞서 지난 10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첫 아이 지원, 장기적 아동수당, 주택 지원 등을 담은 출산장려책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