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오랜 숙원 광주 자치구간 경계조정 가능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 국회의원·구의원·구청장 등 광산구 반대 여론 거세

광주시, 동·북·광산구 대상 설득작업 본격 나서…전폭적 지원책도 제시키로

정치적 결단 필요한 지역 정치권에도 적극적인 협조 요청

광주CBS 이승훈 기자

노컷뉴스

광주광역시청사 전경


광주시가 자치구간 경계조정을 추진중인 가운데 반발이 거센 일부 정치권과 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자치구간 경계조정 준비기획단은 지난 11월 광주시에 구간 경계조정안을 건의했다.

광산구 첨단 1, 2동을 북구로 편입하고 북구 문화동과 풍향동, 석곡동, 두암 1, 2, 3동을 동구로 편입하는 이른바 '중폭 조정안'이다.

광주시는 이를 토대로 해당 자치구와 구의회 등과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해 조만간 구간 경계조정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해당 자치구와 구의회 등을 설득해 동의를 얻어야만 구간경계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논의를 시작하기도 전에 암초에 부딪혔다.

광산구에서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구청장, 구의회, 주민들까지 일제히 경계조정안에 반대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노컷뉴스

(사진=자료사진)


이들은 "광산구민의 뜻이 반영되지 않은 자치구 경계 조정안을 강력히 반대한다"며 "광산구의 뿌리인 비아동을 근거로 하는 첨단 1·2동 주민은 북구 편입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북구에서도 주민들을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반해 광주 동구는 균형발전과 인구불균형 해소를 위해 자치구간 경계조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문을 내며 더이상 미뤄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동구는 "인구가 많은 만큼 복지비 부담은 해마다 늘고 주민 1인당 이용할 수 있는 문화시설, 도서관 수도 부족해 행정 서비스 효율을 제고를 위해서도 구간 경계 조정은 필요하다"며 "더불어 새로운 도약과 지역 간 공존을 통한 광주공동체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경계조정은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해당 지역에 대한 전폭적 지원책 등을 제시하며 반발 여론을 설득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정치적 결단이 필수적인 지역 국회의원들에게도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광주시가 오랜 숙원이면서도 이해관계가 첨예한 구간 경계조정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에 앞서 광주시는 지난 2018년 1억 3천여만원을 들여 자치구 간 경계조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고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소폭·중폭·대폭 조정안 등 3개 안을 마련했지만 경계조정 대상에 포함된 일부 주민들과 지방의원 등의 반발로 추진이 중단됐다.

소폭 조정안은 북구 문화동과 풍향동, 두암1·2·3, 석곡동을 동구로 편입시키는 안이고
중폭 조정안은 북구 문화동, 풍향동, 두암1·2·3동, 석곡동을 동구로 편입시키고 광산구 첨단1·2동을 북구로 편입시키는 안이다.

대폭 조정안은 북구 중흥 1·2·3동과 중앙동, 신안동을 비롯해 임동과 문화동, 풍향동, 두암1·2·3동, 석곡동을 동구로, 광산구 첨단1·2동을 북구로, 광산구 월곡1·2동, 운남동, 신흥동, 우산동을 서구로, 서구 풍암지구를 남구로 편입하는 안이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