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영화속 배트맨 자동차가 현실로? LGU+, 5G 연결해 자율주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LG유플러스, 한양대학교 ACELAB과 5G 기반 자율주차 시연

[파이낸셜뉴스] #. 승용차에서 내린 운전자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실행시켜 근처 주차장을 검색한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빈공간을 선택하자 차량이 스스로 이동한다. 횡단보도와 교차로 신호를 지키며 약 800M를 이동한 차량은 좁은 주차장 진입로도 손쉽게 통과한다. 곧이어 미리 지정된 주차공간 앞에 선 차량은 숙련된 운전자만 가능하다는 후방 주차를 단 한번에 성공한다.

파이낸셜뉴스

LG유플러스 모델이 서울시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의 한 주차장에서 모바일 앱을 통해 5G 자율주행차 A1의 주차를 완료시키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17일 서울 상암동 일대에서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ACELAB), 자율주행 솔루션기업 컨트롤웍스와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차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시연에는 5G 자율주행차 A1이 이용됐는데, 현대자동차 GV80 모델이다. A1은 서울 상암동 YTN뉴스퀘어 건물에서부터 상암1공영주차장까지 스스로 움직여 주차까지 성공했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ACELAB 교수는 "주행 이후에는 반드시 주차가 뒤따르는데, 그런 점에서 5G 자율주차는 지난해 선보인 자율주행의 다음 스텝"이라며 "영화 속에서 스스로 움직이고 주차하는 배트맨 자동차가 실제로 구현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5G 자율주행차 A1은 신호등과 통신(5G-V2X)으로 소통하며 매순간 주행을 지속할지, 제동을 시작할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한다.

선우 교수는 "자율주행차가 통신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기존 자율주행차가 카메라로 신호등 색상을 판별해 주행 여부를 결정하던 것보다 진일보한 방식"이라며 "비와 눈 같은 궂은 날씨나 빛의 굴절, 가로수 시야 방해 등으로 카메라 인식의 오차가 발생할 확률도 낮아졌다"고 말했다.

A1은 인공지능(AI) 기반 주행 환경 인식 기술도 적용됐다. 차량에 장착된 라이다(Lidar), 레이다(radar) 센서 정보로 A1의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미래 상황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후측방 차량의 차선변경과 갑작스러운 끼어들기에 안정적으로 대응 가능하다. 실제 이날 시연에서도 택시가 A1 앞을 갑자기 끼어들었지만 스스로 속도를 줄여 충돌을 막았다.

A1이 단 한번에 후방주차가 가능하게 만드는 데는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시스템과 5G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의 역할이 크다. 실시간 주차공간 인식 시스템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주차장에 설치된 CCTV를 통해 빈자리 현황을 읽어낸다. 사전에 비어 있는 공간의 모습을 다양한 각도, 채도로 AI에게 학습시켜 CCTV 상 화면만으로 빈자리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찾은 빈 주차공간 데이터는 5G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으로 모두 취합된다. 이후 해당 정보가 모바일 앱으로 전달돼 탑승자가 확인하게 되는 방식이다.

5G 자율주행차 A1은 그동안 137회의 비공개 5G 자율주차 실증을 거쳤다. LG유플러스와 ACELAB, 컨트롤웍스는 이르면 내달부터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공개 시연도 진행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5G 자율주차를 통해 차량의 무인 픽업-주행-주차로 이어지는 일련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 기반이 완성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승하차를 위한 지체 시간이 사라져 마치 콜택시나 나만의 AI 운전기사같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우 교수는 "5G 자율주행 및 주차 서비스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국내 자동차 기술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나아가 향후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 교통 약자들을 위한 서비스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