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자율주행→원격호출→자율주차까지"…LGU+, 5G 무인차 시대 주도(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LGU+, 자율주행 이어 자율주차 시연…"보안 관련해 블록체인 등 고민 중"

LGU+, 자율주행 개발 위한 '오픈랩' 운영 계획

뉴스1

서울시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에서 5G 자율주행차 'A1(에이원)'이 5G로 신호등과 통신하며 자율주행 하는 모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LG유플러스가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차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 지난해 3월 5G 기반 8.2km 자율주행을 세계 최초로 성공하고 10월에는 차량의 무인 원격호출 기술까지 선보인 데 이어 자율주차까지 성공하면서 무인 자동차 시대의 근간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해킹을 비롯한 보안 부문과 주차과정에서 발생할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다.

LG유플러스는 17일 한양대학교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에이스랩(ACELAB)'과 자율주행 솔루션기업 '컨트롤웍스'와 5G 이동통신 기반의 자율주차 기술을 공개 시연했다.

이날 시연된 자율주차는 컨트롤웍스가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주차장의 공간을 확인, 주차장 정보가 LG유플러스에서 구축한 클라우드 관제 플랫폼에 올라가면 해당 정보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실증은 내년 1월 중순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나아지면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이번 시연에 사용된 차량은 신호등 인식에 카메라가 아닌 통신을 활용했다.

선우명호 한양대학교 이날 온라인 간담회에서 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 교수는 "카메라를 통한 신호등 인식이 매우 어려워 선진국에서도 통신을 이용하려고 한다"며 "통신을 이용할 경우 교통 신호등에 대한 정보를 100%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용화 시기에 대해서는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선우명호 교수는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카메라가 설치돼야 한다. 공용 주차장만 하더라도 카메라를 설치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1

LG유플러스 모델이 서울시 상암 5G 자율주행 시범지구의 한 주차장에서 5G 자율주행차 'A1(에이원)'에 탑승해 있는 모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실증에서는 해킹과 주차 시 발생할 문제 등에 대해서는 배제한 채 이뤄졌다.

주영준 LG유플러스 미래기술개발랩 담당은 간담회에서 복수의 사람이 빈 주차공간을 선택할 경우 발생할 문제와 관련한 질문에 "이번 실증에서는 그러한 시나리오를 반영하지 않았지만 관제 플랫폼을 상용화할 때는 그런 시나리오를 고려해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선우명호 교수도 "사용자가 자율주차를 통해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사용하기로 하고 플랫폼에서도 이를 인지했지만 플랫폼에 연결되지 않은 일반 사용자가 먼저 주차 구역을 차지하면 들어가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해킹 등에 대한 대비책과 관련한 질문에 주영호 담당은 "자율주행 사업에서 보안 관련 이슈는 매우 크리티컬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보안이 필요한 영역과 통신이 필요한 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나 양자 내성 암호나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보안을 높이는 방법을 꾸준히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자율주행 개발을 위한 오픈랩을 운영할 계획이다.

주 담당은 "다이내믹 정밀 지도 플랫폼, RTK 플랫폼, 관제 플랫폼 등 자율주행 개발 환경을 여러 협력사가 자유롭게 연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오픈랩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수집한 데이터를 여러 개발사들이 이용하고 플랫폼을 통해 보다 나은 개발 환경에서 여러 연구가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yellowapollo@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