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종교계 이모저모

일제시대 성당 신축 기록 '군산 둔율동 성당신축기' 문화재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와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전남대학교 용봉관' 등 3건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소방헬기 까치 2호'와 '국산 소방 완용 펌프' 등 2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에 등록되는 국가등록문화재 제677-2호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는 기존 국가등록문화재 제677호 '군산 둔율동 성당'의 건축공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2점의 자료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가등록문화재 제677-2호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사진=문화재청] 2020.12.31 89hklee@newspim.com


'성당신축기'는 성당의 계획 수립, 착공, 완공, 건축기금 등 건축 전반기 과정을 담고 있고 '건축허가신청서'는 당시의 허가신청서와 청사진 도면, 시방서 등이 남겨져있다.

군산 둔율동 성당은 일제강점기 공소(본당보다 작은 교회)로 시작해 1955~1957년 신축됐는데 이번에 등록되는 유물은 6.25전쟁 직후 신축한 성당의 건축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기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성당과 상호 연계된 통합적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어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801호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는 조선시대 통제영 12공방의 맥을 잇는 나전칠기 공예의 현장으로 해방과 전쟁기를 거치며 나전칠기 전문 공예교육이 실시된 곳으로 근현대 공예의 효시이자 산실로 역사적인 의미가 크다.

또한 국가등록문화재 제802호 '전남대학교 용봉관'은 대학본부 건물로서 상징성 및 역사성이 있으며 건물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높게 처리한 탑상형 구조물과 이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의 입면과 평면을 처리한 수법 등은 1950~60년대 공공건물에서 즐겨 채용하던 디자인적 요소로서 근대 건축사적 가치가 높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2020.12.31 89hklee@newspim.com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이들 3건을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소방 헬기 까치 2호'는 1980년 도입한 한국 최초의 소방 헬기로 2005년 퇴역 시까지 화재진압·응급환자후송 등에 3000여회 이상 출동했고 900명의 인명을 구조했다. 특히, 성수대교 붕괴사고(1994), 삼풍백화점 붕괴사고(1995)와 같은 대형 사고에서 인명구조 작업 및 공중지휘 통제를 담당했던 유물로, 함께 도입된 까치 1호가 1996년 추락 후 폐기되면서 현재로서는 유일하게 남은 최초의 소방 헬기이기도 하다. 헬기를 통해 핵심적인 인명구조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으며, 소방역사에 중요한 흔적을 남긴 역사적·사회적 가치를 지닌 유물로 문화재 등록 가치가 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2020.12.31 89hklee@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산 소방 완용 펌프'는 1950년대 국내 생산된 수동식 소방펌프로, 수레에 싣고 인력으로 이동하는 소방 장비이다. 소방자동차와 분말소화기 같은 화재 진압 기구가 보급되기 이전에 전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 유용한 소방기구로 한국 소방 기구 역사의 초기 상황을 보여주는 역사적 유물이므로 문화재 등록 가치를 인정받았다.

문화재청은 이들 2건에 대해서는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89hklee@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