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9 (화)

이슈 동학개미들의 주식 열풍

[코스피 3,000시대] 이번 주역은 동학개미…올해도 개인만 매수(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증시 대기자금도 사상 처음 68조 넘어…'빚투'도 급증 우려

연합뉴스

코스피, 장중 사상 첫 3,000 돌파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6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2.77포인트(0.09%) 오른 2,993.34에 장을 개장해 장중 사상 첫 3,000선을 돌파했다. 코스피가 3,000선을 넘어선 것은 2007년 7월 25일 2,000을 처음 돌파한 이후 약 13년 5개월여 만이다. 2021.1.6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태종 기자 = 국내 증시의 '3,000시대' 개막은 외국인도 기관도 아닌 개인 투자자가 주도했다.

2007년 7월 첫 2,000 돌파가 외국인과 기관의 몫이었다면 3,000 돌파의 주체는 다른 셈이다.

외국인과 기관이 사실상 양분해 온 국내 주식시장에서 지수는 그동안 이들의 수급에 따라 움직여 왔고, 개인은 그 틈에서 말 그대로 흩어진 '개미'였다.

적어도 2019년까지는 그랬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는 개인들에게 기회가 됐고, 마침내 국내 증시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코스피가 지난해 3월 코로나19 패닉으로 1,500선 아래까지 밀렸던 상황에서 개인들은 '동학개미'가 돼 지수를 끌어올렸다.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4조5천억원과 25조5천억원어치 팔아치울 때 개인들이 무려 47조4천억원을 사들이며 국내 증시를 떠받친 것이다.

특히, 지난 12월에는 무려 14년 만에 처음 순매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계속되는 주식 양도세 부과 대주주 기준 하향 등의 영향으로 개인들은 2007년을 끝으로 2008년부터는 매년 마지막 달 주식을 내다 팔았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3조6천억원어치를 사들이면서 11월 말 2,600선 수준이었던 지수를 연말 2,800까지 끌어올렸다.

이어 새해 들어서도 2조원 넘게 사들이면서 역사적인 3,000 시대의 주역이 됐다.

올해 첫 거래일인 4일 1조원 이상을 사들인 데 이어 5일에도 7천억원 이상 순매수했고, 장중 3,000을 넘은 6일에도 4천억원 넘게 매집하면서 올해에만 2조원 이상 사들였다.

개인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계속해서 '실탄'도 장전하고 있다. 지난 4일 기준 증시 대기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사상 최대인 68조원을 넘겼다. 1년 전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개인들은 주식시장을 지키면서 정책도 유리하게 이끌어 냈다.

지난해 3월 시행한 '공매도 금지'는 당초 작년 9월 풀릴 예정이었으나 6개월 연장됐고,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도 현행 10억원을 유지했다.

이원 부국증권 연구원은 "개인 투자자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3,000 돌파의 원동력"이라며 "1997년 외환위기라든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등 과거 급격한 하락 이후 주가 반등이 있었다는 부분을 개인들이 학습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개인들이 빚을 내 주식을 사는 이른바 '빚투'는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지난 4일 기준 개인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빌린 돈(신용융자잔고)은 19조3천억원에 달한다. 1년 전 9조원대의 두 배가 넘는 수준으로, 계속해서 늘어나며 20조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또 지난해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1년 전보다 9.7%인 약 59조원 늘었다.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은 21.6%(약 24조원) 증가하며 사상 최대 폭으로 뛰었다.

금융권 가계 신용대출의 적지 않은 부분이 주식 투자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과 같이 증시가 우상향하는 분위기에서는 빚투가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반대로 하락장에서는 예기치 못한 손실이 배가 될 수 있다"며 "증시가 과열된 측면이 없지 않은 상황에서 스스로 빚투 관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taejong75@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