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통신사는 알려주지 않는 통신비 아끼는 방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그게머니]Ep.41

통신사는 알려주지 않는 통신비 아끼는 방법과 주의점을 소개한다.





①6개월 뒤 해지위약금? 노노



=공시지원금을 많이 받으려면? 비싼 요금제에 가입했다가 요금제 변경이 가능해지는 6개월 뒤 저렴한 걸로 갈아타는 게 방법. 단 '위약금 폭탄'에 주의하라.

=5G 요금제 기준으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월 4만5000원, KT는 4만7000원 이상 요금제로 갈아타면 위약금 없음.



②온라인요금제? 5G는 안 싸네



=현재 KT와 LG유플러스는 온라인 요금제를 시행 중. 온라인 요금제란 통신사 온라인몰에서 단말기를 사거나 자급 단말기(공기계)를 구해 서비스에 가입하는 방식.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통 과정을 줄였으니 일반 요금제보다 저렴할 것 같지만 5G 요금제는 그렇지 않아. 대리점에서 가입해 선택 약정할인(25%) 받는 것보다 오히려 비싸. 유무선 결합할인, 가족 결합할인, 데이터 공유, 멤버십 서비스에서도 차이.



③알뜰폰보단 데이터 쉐어링?



='자급제+알뜰폰' 조합이 통신비 아끼기의 정답? 가족 2인 이상이면 아닐 수도. 알뜰폰은 각종 결합할인이나 데이터 공유, 멤버십 서비스가 없기도 함. 오히려 한명이 고가 요금제에 가입해 가족에게 데이터를 나눠주는 게 쏠쏠할 수도.

=KT와 LG유플러스는 5G·LTE 요금제 모두 가족 공유 혜택이 있지만, SK텔레콤은 현재는 LTE 요금제만 가능.


기획=중앙일보, 영상=김진아·김재하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