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정전·전력 제한 등 잇단 혼란… 中, 호주산 석탄에 결국 빗장 푸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홍콩 매체, “중국 연안 정박 중인 호주 석탄 선박 하역 고려”

수입 금지 조치 이전 선박 대상… 공식 조치 없어 시점 애매

세계일보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의 석탄 화력발전소.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 조치를 해제하고 허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전면적인 수입이 아닌 호주산 석탄 금지가 시행되기 전 중국에 도착한 화물로 제한했다. 중국내 석탄 공급부족에 따른 가격 폭등 등 과열된 석탄 시장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중국이 결국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에 대한 빗장 해제 조치를 취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연안에 최근 몇 달 동안 정박해 있던 호주산 석탄 선박을 받아들이는 것을 고려중”이라며 “호주산 석탄 금지가 발효되기 전에 도착한 화물이 그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소식통은 “아직 논의가 초기 단계에 있고, 어떤 결정이든 중국 고위 지도자들의 승인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조심스러워했다.

현재 중국 연안에는 약 70척의 호주산 석탄을 실은 선박이 하역을 대기중이다.

다만, 중국이 공개적으로 호주산 석탄의 수입 금지 조치를 밝힌 적이 없다보니 그 시작 시점이 언제일지 애매한 상황이다. 중국 정부가 5대 전력 회사에 호주산 석탄 구매를 중단하라고 지시했다는 소식이 지난해 5월 퍼진 바 있고, 발전소와 제철소가 호주 석탄 사용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받은 것은 지난해 10월이다.

중국이 자국과 관계가 껄끄러운 호주 무역품에 대한 수입 금지를 취하는 등 보복 조치를 취하고 있는 가운데 석탄에 대해 빗장을 푼 것은 국내 에너지 시장 혼란이 진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중국은 10년만에 최악의 정전사태에 시달렸다. 저장·후난·장시성에 잇달아 전력제한 조치가 취해지면서 연말 특수를 노리던 공장들의 손발이 묶이는 등 불편이 초래됐다. 인구 500만명의 허난성 안양시의 석탄발전소는 석탄 재고량이 10일치 미만에 불과하다고 발표한 바도 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석탄 공급부족에 따른 석탄 가격이 10% 이상 폭등하자, 중국의 4대 주요 석탄지수 발표를 중지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호주와 갈등을 빚는 와중에 비공식적으로 호주산 석탄의 수입을 중지시켰으며, 이로 인해 중국에서 석탄 부족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벗어난 중국의 산업이 회복하는 가운데 석탄수요가 늘어나는 겨울철이라는 계절적 특성이 더해진 것 역시 중국이 석탄부족에 시달리는 원인으로 분석했다.

베이징=이귀전 특파원 frei5922@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