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7 (월)

다문화 학생 급증에도 대비 부족…"밀집학교·교사 재교육 지원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다문화 학생 14만7천명…초등학생 73%

전국 교육지구 절반이 다문화 학생 5% 이상

밀집학교 교원 49.7%만 연수…실효성 떨어져

"정확한 실태조사, 학부모 소통 지원 필요해"

뉴시스

[안동=뉴시스] 다문화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교실. (사진=경북교육청 제공) 2020.09.28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시스] 이연희 기자 =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노동자 자녀 등 다문화 학생 규모가 매년 늘어나 15만명에 육박하고 앞으로도 증가할 예정이지만 정작 다문화 학생 밀집학교와 교사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교육개발원 박희진 연구위원은 18일 이슈페이퍼 '이주배경 학생 밀집 초등학교 교원의 경험과 정책 시사점'을 통해 "외국인주민의 가파른 증가세와 함께 모든 교원의 교직 생활에서 이주배경 학생과의 만남이 이뤄질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대비는 부족하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이주배경 학생이 밀집된 지역 근무가능성이 높은 교사들을 대상으로 보다 구체적인 이주배경 학생 포함 학급운영과 교수학습, 지도, 생활지도, 한국어교육 지도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체계적인 재교육 기회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국내 중도입국자 또는 이민자 자녀인 다문화 학생 수는 2006년만 해도 9572명(0.12%)으로 1만명이 되지 않았으나 15년간 약 15배가 늘어났다. 2014년 6만7806명(1.08%)으로 늘었고, 2017년 10만9387명(1.91%), 2020년 14만7378명(2.75%)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14만7378명 중 73.07%는 초등학생으로, 향후 이 학생들이 자라면 중·고등학교에도 다문화 학생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다문화학생 비율은 지역별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4월 기준 서울시 남부교육지원청 소속 구로·금천·영등포구 관내 초등학교 67개교 중 34개교의 경우 전체 학생 대비 이주배경 학생 비율이 5%를 상회한다. 10%를 상회하는 학교는 20개교, 50%를 상회하는 곳이 4개교다. 이주배경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73.59%에 달한다. 반면 강남·서초구는 이주배경 학생 비율이 0.76% 수준이다.

전국적으로는 193개 교육지구 중 이주배경 학생 비율이 5% 이상인 곳이 93곳(48.2%)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 서울, 경남, 경북, 충남 순으로 다문화 학생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학생 대비 비율은 전남(5.13%)이 가장 높고 충남(4.24%), 전북(3.93%), 경북(3.87%), 충북(3.64%)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농촌지역의 다문화 학생 밀집 초등학교 10곳의 교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근 3년간 전체 교원 중 절반이 채 되지않는 49.68%만 관련 연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도 다문화교육의 전반적 이해 등 총론에 해당하는 연수가 주로 개설됐다. 실제 교사들 사이에서는 구체적인 학생 생활지도 연수(32.26%), 한국어 교육(19.35)%, 학업지도(16.13%) 방법에 대한 연수 수요가 높았다.

대부분 다문화학생 교육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밀집학교에 배치되거나 업무 전담자가 되는 상황이 많아 양질의 교육과 지도가 이뤄지기엔 부족하다는 얘기다.

박 연구위원은 "이주배경 학생 밀집 초등학교 근무 경험 특징을 살펴봤다"며 "개별 교사에 지나치게 의존해서 학교 다문화교육이 이뤄지고, 충분한 지원 없이 교사들에게 상당히 많은 역할과 책임을 지우는 상황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또한 "학생 지도에서 맞닥뜨리는 언어장벽과 함께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언어적 문화적 , 차이로 인한 어려움도 상당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교사들이 꼽는 첫 번째 정책 지원 요구는 언어장벽 극복 방안과 학부모 교육에 관한 부분"이라고 짚었다.

박 연구위원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모든 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최근 정책적으로 일부 교원양성 기관에서 제공하기 시작한 다문화교육에 관한 강좌가 보다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는 모든 예비교원들이 필수적으로 수강할 수 있도록 확대해가야 할 것"이라고 방향을 제시했다.

다문화학생이 밀집한 학교의 한국어학급 담당교사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한국어교육 자격증이 있는 교사를 배치하고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학부모 대상 교육 역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취업비자로 입국한 외국인 국적 학부모의 경우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다보니 소통이 쉽지 않고 문화적인 차이가 커 갈등 소지가 있고, 국제결혼 가정의 경우에도 한국인 부모와의 상담을 진행해도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주배경을 가진 학생들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주배경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지만 관련 정보를 공식적으로 수집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전임자로부터 구전으로 전해지는 정보에 의지해서 학생들의 배경을 파악하는 경우가 가장 흔한 방식"이라며 "정확하지 않은 정보에 터해 학교 다문화교육 업무가 수행된다는 것은 문제의 여지가 있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dyhlee@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