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문 대통령 “싱가포르 선언에서 다시 시작”…남북미 대화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 정부 출범으로 새 전기 마련”

한-미 정상회담 조기 개최 뜻 밝혀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취임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를 향해 ‘싱가포르 선언’을 출발점 삼아 북-미 대화를 재개할 것을 제안했다. 또 조기에 한-미 정상회담을 열어 미국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싶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새해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미국 신행정부의 출범으로 북-미 대화, 남북 대화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전기가 마련됐다”며 “그 대화는 트럼프 정부에서 이뤘던 성과를 계승해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북-미 대화 재개의 출발점으로 꼽은 것은 2018년 6월 1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싱가포르 공동선언’이었고, 바람직한 대화의 방식으로 제시한 것은 ‘단계적 접근’이었다.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 선언에서 다시 시작해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이루는 대화와 협상을 해나간다면 좀더 속도 있게 북-미 대화와 남북 대화를 해나갈 수 있다”며 대화 시작 이후엔 북-미가 “서로 속도를 맞춰서 주고받는” 형식의 “단계적 진행”이 이뤄지는 협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은 앞선 싱가포르 선언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북-미의 새로운 관계 수립’을 교환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이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해 “한-미 정상 간 교류를 보다 조기에 성사”시켜 미국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싶다”고 밝혔다. 한국의 대통령은 새로 취임한 미국 대통령과 5~6월께 첫 정상회담을 해왔지만, 이 일정을 당기겠다는 것이다.

초미의 관심사인 3월 한-미 연합훈련과 관련해선 “한-미 연합훈련도 크게는 비핵화, 평화 정착이라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틀에서 논의될 수 있는 문제”라며 “남북 군사공동위원회를 통해 북한과 협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단된 남북 대화 재개를 위해 한-미 군사훈련 실시를 놓고 남북 군당국이 논의를 해보자고 제안한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연합훈련은 “연례적, 방어적 목적의 훈련”이라며 실시 쪽에 무게를 두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코로나19 기사 보기▶전세 대란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