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e글중심] “왜 지방에도 같은 방역 지침 적용하나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누적 확진자는 전날 0시 이후 386명 증가한 7만3115명이다. 확진자 중 사망자 비율인 치명률은 약 1.75%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경주시가 자체적으로 완화된 방역 지침을 발표했다가 철회했습니다. 지역 실정을 고려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밤 11시까지 연장하겠다고 발표했다가 논란이 일자 이를 번복한 것입니다. 이에 대한 네티즌들의 주장이 엇갈립니다.

우선 지역별 상황에 맞춘 방역 지침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지방은 영업시간 제한 풀어도 되는 거 아닌가? 수도권에서 확산 못 잡는 걸 전국에 짐 지우네.” "좋은 소리 안 나오는 게 당연하지만, 자영업자들 입장에선 2시간 연장도 간절하다." “확산이 걱정되면 수도권 사람들 다른 지역에 못 가게 막고 지방 규제 완화하면 되지 않나?” “언제는 지역에 따라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조절하라면서. 언제까지 지방이 수도권 실정에만 맞추어야 하나?” “처음부터 수도권은 2.5단계, 지방은 2단계로 나눈 정부가 문제 아닌가? 같은 기준 할 거면 왜 다른 단계를 적용하는 거야?”

반면 방역 지침 완화로 인한 풍선 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지방만 방역 완화하면 분명 일부 수도권 사람들 지방 원정 간다. 그러면 지방에도 코로나 확산하는 거고. 이미 지난해 이것이 문제가 된 적도 있었지.” “모든 지역이 참여해서 이참에 뿌리를 뽑는 것이 나을 것 같은데. 이러다가 설에 또 코로나 번져서 거리두기 강화될 수도 있어요.” “거리두기와 방역의 취지를 고려해주세요. 다 같이 해야 방역 효과가 좋죠.”

영업시간 제한의 실효성을 비판하는 네티즌들도 있습니다. “운영시간 제한하기보다는 유지해서 손님들을 분산시키고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게 더 안전할 거라 생각한다. 단순히 운영시간 제한하는 거로 코로나 확산이 해결될지 모르겠다.” “오히려 9시까지 축소 영업이 손님 밀도를 높이는 것 아닌가?” “헬스장 24시간 할 때는 분산이 되어 괜찮았는데 오히려 9시까지 하니 사람이 몰려서 더 북적이네요. 둘 중 어느 것이 거리 두기일까요?” e글중심이 네티즌의 다양한 생각을 모았습니다.

* e 글 중심(衆心)은 '인터넷 대중의 마음을 읽는다'는 뜻을 담았습니다.

* 커뮤니티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

* 반말과 비속어가 있더라도 원문에 충실하기 위해 그대로 인용합니다.

* 어제의 e 글 중심 ▷ "대통령도 아니다 싶음 취소 되나" 文 정인이 해법이 부른 분노

■ #네이버



지역별로 적용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함.

"두 달 가까이 수도권 확진자 못 잡고 지방까지 옥죄였으니 한계에 왔다 봄. 방역, 치료는 지역별로 감내하는 게 맞다."

ID 'ljy7****'

■ #다음



모든 지역이 참여해서

"이참에 뿌리를 뽑는 것이 나을 것 같은데. 이러다가 설에 또 코로나 번져서 거리두기 강화될 수도 있어요."

ID '정혜경'

■ #더쿠



원정 가는 사람들

"생길 수도 있잖아. 혼자만 완화하면 안 되지. 지금 전국 다 9시에 맞춰놓은 건데 그건 지켜야지."

ID '5.무명의 더쿠'

■ #클리앙



실제로 주변 지역에서

"원정을 많이 갑니다. 저녁 9시까지만 장사하는 지역의 바로 옆 동네가 밤 11시까지 장사하면, 아예 처음부터 그쪽으로 가서 놀고 마시거나 혹은 9시에 그쪽으로 가더군요. 어차피 꽤 오래전부터 지자체마다 원하는 대로 규정을 완화해왔고 덕분에 풍선효과가 꽤나 많이 발생했죠."

ID 'datainfo'

■ #다음



솔직히 완화가 맞지.

"9시까지면 지금 두 달이 넘도록 가게 닫고 있는데 특히 밤 장사 같은 경우는 어쩔 수 없지. 어느 정도 장사는 하게 하면서 방역대책을 세워야지. 지금 다 나앉게 생겼다."

ID 'ynlvpwa'

■ #네이버



계속 거리두기하는 건

"어차피 한계가 있지 않을까요? 다들 지쳐가니까요. 대구의 거리두기 완화 발표를 부정적으로만 보지 말고, 오히려 테스트 단계라 생각하고 한번 실행해봐도 좋았을듯싶은데요. 완화를 처음 선언한 대구랑 경주랑 두 곳 먼저 실행해보면 완화가 타당한지 아닌지 판단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ID 'ifor****'

이지우 인턴기자

■ 지금 커뮤니티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이슈들입니다. 제목을 클릭하면 원글로 이동합니다.



커뮤니티 HOT 이슈는...

1. 인스티즈 〈도로주행 해본 사람만 아는 짤〉

2. 오늘의유머 〈나 좀 나가자 좀〉

3. 네이트판 〈저기요 아랫집인데요 너무 시끄러운 거 아니에요?〉

4. 클리앙 〈관광객 없어진 네팔 근황〉

5. 뽐뿌 〈어느 사장이 알바비 줄이는 방법〉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