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삼성 비상경영 돌입…계열사별 CEO경영체제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계열사 중심 긴급사장단 회의서 대책 논의할 듯

이재용 옥중경영 전망…불법 승계 의혹 재판 준비로 한계

2017년과 비슷한 자율경영 무게…삼성전자, 3인 대표체제 강화

[이데일리 신민준·배진솔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이 법정구속되면서 삼성은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할 전망이다. 이재용 부회장은 옥중경영에 나설 것으로 점쳐지지만 불법 경영 승계 의혹 재판도 준비해야 해 한계가 있다. 삼성은 계열사별 최고경영자(CEO)와 이사회가 중심이 된 자율경영체제를 강화하는 형태로 비상경영체제를 운영할 것으로 보인다.

이데일리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 선고 공판에 출석하며 눈을 감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조만간 전자 등 계열 부문별 또는 계열사별 긴급사장단 회의를 열고 후속 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전체 사장단 긴급회의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계열사별 사장단 긴급 회의의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삼성의 비상경영체제는 이 부회장이 구속됐던 2017년과 비슷한 형태가 예상된다. 당시 삼성은 계열사별 CEO와 이사회 중심으로 자율경영체제를 운영하면서 주요 일부 현안은 이 부회장이 보고받고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예가 미래전략실 해체와 평택 생산라인 30조원 투자다.

다만 이 부회장의 이번 옥중경영은 2017년과 상황이 다소 다르다는 분석이다. 서울 동부구치소 등 교정시설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가 발생해 접견이 제한되는 데다 불법 승계 의혹 재판도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의 옥중경영 운신 폭이 2017년보다 훨씬 좁을 수 있다는 얘기다.

우선 삼성은 계열사별 CEO와 이사회가 중심이 된 자율경영체제를 운영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 △김현석 소비자가전(CE)부문장(사장) △고동진 IM(IT·모바일)부문장(사장) 등이 각각 이끄는 사업 부문별 대표체제가 더욱 강화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다른 계열사들도 이사회가 중심이 된 자율경영체제를 공고히 할 예정이다.

2017년 미래전략실 해체 이후 설립된 사업지원 태스크포스(TF)는 계열사들의 일상적인 경영 지원 정도의 역할을 할 예정이다. 사업지원 TF를 미래전략실의 부활로 인식하는 부정적인 시선 때문이다. 현재 삼성은 △삼성전자 사업지원 △삼성물산 설계·조달·시공(EPC)경쟁력강화 △삼성생명금융경쟁력제고 등 3개 TF가 있다.

재계 일각에서는 경영위원회 형태의 CEO 중심 협의체가 만들어질 가능성도 제시되지만 오해를 살 수 있어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SK·한화그룹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구속됐을 당시 각각 사장단 중심의 수펙스추구협의회와 원로 경영인 중심의 비상경영위원회를 설립해 대응했다.

이 부회장이 가장 먼저 접견할 인물도 관심사다. 이 부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정현호 삼성전자 사업지원 TF 사장이나 이인용 대외협력 사장 등이 가장 먼저 이 부회장을 만날 것으로 점쳐진다. 3년 전에는 최지성 전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이 이 부회장을 제일 먼저 만났다. 최 전 부회장은 이 부회장과 함께 2년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현재 법정구속된 상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