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석탄공사-철도기술연구원, 남북경제협력 선제 대응 나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외 석탄·에너지·철도 물류 분야' 업무협약 체결

뉴스1

유정배 대한석탄공사 사장(왼쪽)과 나희승 한국철도기술연구원장이 19일 '국내외 석탄·에너지와 철도물류 분야'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석탄공사 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권혁준 기자 = 대한석탄공사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19일 '국내외 석탄·에너지와 철도물류 분야'에 양 기관이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올해 강릉-제진간 동해북부선 착공이 예정돼 있고, 남북철도와 유라시아대륙철도의 연결이 가까운 장래에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양 기관은 철도 물류를 이용하게 될 석탄 등 에너지자원의 물류에 대해서도 향후 개선과제를 발굴해 공동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러시아로부터 연간 3000만톤에 가까운 석탄을 수입하고 있는데, 대부분 시베리아철도를 이용해 극동 러시아 항구에서 선박운송하고 있다. 그러나 남북·유라시아 철도가 연결될 경우 물류다변화를 가져와 운송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은 철도를 통해 대부분의 석탄을 운송하지만 시설 노후화로 인해 운송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어 철도개보수와 전력공급 등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석탄공사와 철도기술연구원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석탄·에너지자원과 철도물류 부문에서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동아시아 철도연결과 남북경제협력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가기로 했다.

철도기술연구원은 유라시아철도연결을 대비해 궤간 너비 차이로 화차를 교환해야 하는 현재 러시아 철도시스템을 화차 교체없이 광궤와 표준궤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궤간가변대차 시스템을 개발했다.

유정배 석탄공사 사장은 "러시아와 북한의 석탄·에너지자원을 남북철도와 유라시아대륙철도를 연결해 이용할 경우 북한·러시아·중국·몽골·일본 등 동아시아 평화에너지 공동체가 형성돼 경제·문화 교류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석탄·에너지와 철도물류 분야에서 먼저 연결점을 찾는 것은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starburyny@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