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관계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법정 구속 이후 삼성의 분위기를 이같이 전했다.
19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실형 선고를 받은 이후 3년 전 처음 구속됐을 당시와는 비교하기 힘든 당혹감이 삼성 전체를 휘감고 있다.
삼성의 충격이 유독 큰 이유로 재계에서는 크게 3가지 이유를 꼽는다. 변호인단을 포함해 삼성 측은 준법감시위원회 활동이 양형 조건에 반영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하지 못 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2019년 10월 재판부가 내부 준법감시제도를 마련할 것을 권고함에 따라 삼성은 지난해 1월 준법감시위를 출범시켰다.
|
한 재계 관계자는 "이럴 거면 준법감시위는 애초부터 왜 하라고 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의아해했다.
컨트롤 타워의 부재가 주는 충격이 과거와 다르다는 시각도 있다.
고(故) 이건희 회장 시절과 비교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은둔의 경영'을 선호했고 전면에 나서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다. 대신 삼성 구조조정본부나 미래전략실을 통해서 자신의 의지나 판단을 피력하는 경영 방식을 택했다.
하지만 이재용 시대는 그때와 다르다. 총수를 대신해 작동해야 할 미전실은 이미 2017년 정부 압박으로 해체됐다. 삼성이 비상경영에 돌입한다고 하지만 현재로선 딱히 플랜B를 꺼내들기 힘들다. 사업지원TF도 전면에 나서기 힘든 상황이다.
이병태 카이스트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는 "예전에는 총수가 없어도 비서실, 미전실, 구조본이 있었는데 미전실은 해체되고 당시 경영진들은 줄줄이 수사를 받았다"며 "그룹 전체에 컨트롤 타워가 없다보니 총수 부재가 더욱 불안한 것이 현재의 삼성그룹의 구조"라고 지적했다.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산업계 빅뱅이 시작되면서 글로벌 IT 기업들은 물론이고 SK, 현대차, LG 등 국내 기업들도 '영끌'을 해가며 신사업 투자와 M&A를 활발히 늘리고 있다.
반면 정작 현금성 자산을 100조원 쌓아둔 삼성은 수 년 째 조용하다. 앞으로도 이 부회장의 '옥중 경영'으로는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란게 재계 시각이다.
재계 관계자는 "SK도 최태원 회장이 사면으로 감옥에서 나온 후에 SK머티리얼즈, SK실트론 등을 인수를 검토할 수 있었다"며 "전문경영인이 수조원대 '딜'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전했다.
이병태 교수는 "삼성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도 IMF 때 구조조정을 잘 하고 신경영을 잘 이어받았기 때문"이라며 "리세션(경기 침체) 이후에는 많은 산업에서 지각변동이 발생하고 삼성은 현금 보유액도 많고 주가도 높아 기회가 많은데 구속 시점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삼성 관계자는 "선고 받고 얼마 안 돼 현재로선 아무 것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며 "여전히 충격에 휩싸여 있는 상태"라고 전했다.
sunup@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